^*^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백통가저담즙탕(白通加猪膽汁湯)

한들 약초방 2016. 4. 29. 11:49

 백통가저담즙탕(白通加猪膽汁湯)

 

출처 ; 방약합편(方藥合編)(1884년)

편명 ;증보방(增補方)

 

내용 ;소음병(少陰病)으로 궐냉(厥冷)하고 설사를 하며 건구(乾嘔)를 하고, 맥(脈)이 부지(浮遲)하고 번조(煩躁) 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건강(乾薑): 37.5 g.

부자(附子): 37.5 g.

인뇨(人尿): 75 g (0.9 L).

총백(蔥白): 4 뿌리.

저담즙(猪膽汁): 15 g (0.18 L).

 

조제용법 ; 약들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

 

주치병증 

구토(嘔吐)

위의 내용물을 게우는 증상. 담음(痰飮), 비위허약(脾胃虛弱), 칠정(七情), 식체(食滯), 기체(氣滯), 육음외감(六淫外感) 등으로 위기(胃氣)가 거슬러 올라와 발생함. 한(寒)을 끼면 희열오한(喜熱惡寒)하고, 사지가 차며, 맥이 소(小)함. 열을 끼면 희랭오열(喜冷惡熱)하고, 조갈(燥渴)이 나며, 맥이 홍(洪)함. 기체로 생기면 복부가 창만해짐. 담음으로 생기면 찬 것을 접할 때마다 토함. 쓴것을 토하면 사기(邪氣)가 담(膽)에 있는 것이고, 신것을 토하면 사기가 간(肝)에 있는 것이고, 시큼한 것을 토하면 식체 때문임. 실증 때는 병이 생긴 기간이 짧고, 경과가 급하고, 위 내용물이 많고, 시큼한 냄새가 남. 허증 때는 병이 생긴 기간이 길고, 위 내용물이 적고, 냄새가 심하지 않음.

양방병증 ; 구토

 

무맥증(無脈證)

한쪽 또는 양쪽 촌구(寸口)에서 맥이 느껴지지 않는 증.

양방병증 ; 무맥박

 

번조(煩燥)

가슴에서 열이 나 답답하며 안절부절 못하는 병증. [소문(素問)] <지진요대론(至眞要大論)>에 나옴. 번(煩)은 가슴에서 열이 나고 답답한 것이며 조(躁)는 참을성 없이 서두르고 안절부절 못하며 움직이는 것이다. 번(煩)과 조(躁)는 늘 붙여서 쓰는데 번조와 조변은 구별이 된다. [상한명리론(傷寒明理論)] 제2권에 "이른바 번조(煩躁)는 먼저 번(煩)하다가 점차 조(躁)에 이르는 것이다.(所謂煩躁者, 謂先煩漸至躁也.)"라고 하였다.

 

상한소음증(傷寒少陰證)

상한6경병중 소음병

 

하리(下痢)

대변이 묽은 것. 고대에서는 이질(痢疾)과 설사를 통틀어 말했음.

'^*^동의보감^*^ > 동의보감 예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순탕(四順湯)  (0) 2016.04.29
적석지우여량탕(赤石脂禹餘粮湯)  (0) 2016.04.29
밀도법(蜜導法)  (0) 2016.04.29
태창공벽온단(太倉公辟瘟丹)  (0) 2016.04.29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   (0) 2016.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