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 예비

도담소위단(導痰小胃丹)

한들 약초방 2016. 6. 23. 23:03

   ♣도담소위단(導痰小胃丹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이(卷二) 담음(痰飮)

 

내용 ; 탄탄(癱瘓),풍담(風痰),후비(喉痺),현훈(眩暈),비적(痞積),말못하는 것, 뱃속에 비괴(痞塊)가 있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수(甘遂): 18.75 g. 밀가루로 감싸고 구워서 물에 반일 담근후 햇빛에 말린다.

남성(南星): 9.375 g. 백반,조각을 강즙으로 15번 끓인다.

대극(大戟): 18.75 g. 장류수로 삶아서 햇볕에 말린다.

대황(大黃): 37.5 g. 축축한 종이로 싸서 굽고 술로 담근 다음에 볶는다.

도인(桃仁): 37.5 g. 백반을 조각수에 담근후 뾰족한 부분을 제거한다.

반하(半夏): 9.375 g. 백반,조각을 강즙으로 15번 끓인다.

백개자(白芥子): 37.5 g. 볶는다.

백출(白朮): 37.5 g.

원화(芫花): 18.75 g. 식초로 1일동안 담근후 까맣게 볶는다.

지실(枳實): 37.5 g. 백반을 물에 반일동안 담근후 볶는다.

진피(陳皮): 37.5 g. 백반을 물에 반일동안 담근후 볶는다.

창출(蒼朮): 75 g. 쌀뜨물, 백반, 조각을 물에 하룻밤동안 담근후 볶는다.

행인(杏仁): 37.5 g. 백반을 조각수에 담근후 뾰족한 부분을 제거한다.

홍화(紅花): 37.5 g. 술로 찐다.

황백(黃柏)A: 75 g. 볶는다.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서 생강즙과 죽력에 쑨 신국풀에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

 

주치병증

반신불수(半身不隨)

중풍(中風)에서 늘 나타나는 증상의 하나. 반신불수(半身不隨)라고도 쓰고, 편고(偏枯), 편풍(偏風)이라고도 함. [금궤요략(金匱要略)] <중풍역절병맥증병치(中風歷節病脈證幷治)>에서 "풍이 병을 일으키면 으레 반신불수(半身不隨)가 된다.(夫風之爲病, 當半身不遂.)"라고 하였다. 주된 증상은 몸의 반쪽을 뜻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것으로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말을 더듬는 등의 증상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이명 ; 반신불수(半身不遂), 편고(偏枯), 편풍(偏風)

양방병증 ; 편마비

 

풍담(風痰)

(1) 담증(痰證)의 하나. 담(痰)이 간경(肝經)을 뒤흔들어 발생하는 병증. 간경풍담(肝經風痰)이라고도 함. [의학입문(醫學入門)] 제5권에서 "간을 동요시키면 대부분 어지럽고 두풍(頭風)이 발생하며 눈꺼풀이 떨리고 눈이 침침하면서 뻑뻑하고 귓바퀴가 가려우며, 옆구리가 더부룩하면서 아프고 왼쪽이나 오른쪽 팔다리를 쓰지 못하며 나무처럼 뻣뻣하여지고 절뚝거리는 기증(奇證)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풍담(風痰)이라 한다.(動於肝, 多眩暈頭風, 眼目瞤動昏澀, 耳輪搔癢, 脇肋脹痛, 左癱右瘓, 麻木蜷跛奇證, 名曰風痰.)"라고 하였다. 청주백원자(靑州白圓子) 따위를 쓴다.(2) 담증(痰證)의 하나. 본래 담질(痰疾)이 있는데다가 풍사(風邪)를 감수하거나 풍열(風熱)이 뭉쳐 발생한 병증. 원나라 왕규(王珪)의 [태정양생주론(泰定養生主論)]에서 "풍담은 풍(風)을 감수하여 발생하는데, 풍열(風熱)이 뭉쳐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모두 본래 담병(痰疾)을 갖고 있는 환자가 바람이나 찬기운, 칠정, 뜨거운 기운, 음식(風, 寒, 氣, 熱, 味)으로 인하여 숨이 가쁘고 기침하며 가래를 뱉는 것이지, 이러한 5가지 담(痰)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風痰者, 因感風而發, 或因風熱怫鬱而然也. 此皆素抱痰疾者, 因風, 寒, 氣, 熱, 味而喘咯咳唾, 非別有此五種之痰.)"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뇌경색증; 뇌내출혈; 뇌혈관 질환의 후유증; 본태성(원발성) 고혈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