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내경편

가미수성원(加味壽星元)

한들 약초방 2015. 11. 3. 11:21

 가미수성원(加味壽星元)

 

 

 

治痰涎留于心包精神不守健忘恍惚或風涎潮作手足抽大半夏薑製六兩天南星三兩朱砂水飛一兩(爲衣)琥珀白礬枯各五錢母眞珠一錢右爲末薑汁糊和丸梧子大朱砂爲衣薑湯下三五十丸《得效》

 

담연(痰涎) 심포락에 몰려 정신이 없어서 잊어버리고 얼떨떨해하며 혹은 풍담이 발작하여 손발이 가늘어 지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생강즙으로 법제한 ) 240g, 천남성(싸서 구운 ) 120g, 주사(수비한다) 40g(알약의 겉에 입힌다), 호박, 백반(구운 ) 각각 20g, 모진주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즙을 넣고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30-5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득효].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득효(得效)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일(卷一) 신(神)

 

내용 ; 담연(痰涎)이 심포(心包)에 머물러 정신이 제 기능을 못하고 잘 까먹고 정신이 멍하며 혹 풍연(風涎)이 일어나서 손발이 당기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반하(半夏): 225 g. 생강으로 포제한다.

백반(白礬): 18.75 g. 시들다.

주사(朱砂): 37.5 g. 물로 걸러서 겉에 입힌다.

진주모(珍珠母): 3.75 g.

천남성(天南星): 112.5 g. 굽는다.

호박(琥珀): 18.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을 넣고 쑨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오동나무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30-5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

 

주치병증

건망(健忘)

기억력이 감퇴하여 겪은 일을 쉽게 잊어버리는 병증. 대부분 심(心), 신(腎), 뇌수(腦髓)가 부족하여 발생한다. [의림개착(醫林改錯)] <뇌수설(腦髓說)>에서 "소아가 기억력이 없는 것은 뇌수가 아직 차지 않았기 때문이고, 고령자의 경우는 뇌수가 점차 비기 때문이다. 이시진(李時珍)은 뇌(腦)는 원신(元神)의 부(府)라 하였고, 김정희(金正希)는 사람의 기억력은 모두 뇌 속에 있다고 하였다.(所以小兒無記性者, 腦髓未滿; 高年無記性者, 腦髓漸空. 李時珍曰: 腦爲元神之府. 金正希曰: 人之記性皆在腦中.)"라고 하였다.

이명 ; 선망(善忘), 희망(喜忘), 다망(多忘)

양방병증 ; 건망; 파킨슨병; 혈관성 치매; 알쯔하이머병; 상세불명의 치매; 신경계통의 기타 퇴행성 질환; 뇌손상, 뇌기능 이상 및 신체질환에 의한 기타 정신 장애

 

담연(痰涎)

(1) 어린아이가 침을 흘리는 증. (2) 가래침으로, 거품이 섞인 침을 말함.

정식(停食)

기(氣)의 소통이 막혀서 음식이 정체되어 완민(脘悶), 애기(噯氣) 등의 증상이 있는 것.

이명 ; 상식(傷食), 적체(積滯)

 

정신불수(精神不守)

심(心)은 신(神)의 집(舍)이 되므로 심에 사기(邪氣)가 침입하면 심이 신을 통솔하지 못하여 정신이 흐리고 헛소리를 하는 것.

황홀(恍惚)

정신이 흐리고 사리 판단이 잘 안되는 상태. 칠정내상(七情內傷), 외사(外邪)의 침입, 발한(發汗) 과다로 심기(心氣)를 손상하여 정신을 지키지 못해 발생함.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십삼(券第十三) 통치(通治)

 

내용 ; 풍사(風邪)가 뭉치고 담(痰)이 많이 생기는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반하(半夏): 187.5 g. 둥그란 하얀 것.

주사(朱砂): 37.5 g. 잘게 갈아서 옷으로 만든다.

진주모(珍珠母): 3.75 g.

천남성(天南星): 112.5 g.

호박(琥珀): 18.75 g.

고반(枯礬): 18.75 g.

 

조제용법 ; 가루낸 것을 삶을 생강즙을 넣은 밀가루풀로 오동나무씨 크기의 알약을 만든다. 매번 35개를 강탕으로 삼킨다.

 

주치병증

건망(健忘)

기억력이 감퇴하여 겪은 일을 쉽게 잊어버리는 병증. 대부분 심(心), 신(腎), 뇌수(腦髓)가 부족하여 발생한다. [의림개착(醫林改錯)] <뇌수설(腦髓說)>에서 "소아가 기억력이 없는 것은 뇌수가 아직 차지 않았기 때문이고, 고령자의 경우는 뇌수가 점차 비기 때문이다. 이시진(李時珍)은 뇌(腦)는 원신(元神)의 부(府)라 하였고, 김정희(金正希)는 사람의 기억력은 모두 뇌 속에 있다고 하였다.(所以小兒無記性者, 腦髓未滿; 高年無記性者, 腦髓漸空. 李時珍曰: 腦爲元神之府. 金正希曰: 人之記性皆在腦中.)"라고 하였다.

이명 ; 선망(善忘), 희망(喜忘), 다망(多忘)

양방병증 ; 건망; 파킨슨병; 혈관성 치매; 알쯔하이머병; 상세불명의 치매; 신경계통의 기타 퇴행성 질환; 뇌손상, 뇌기능 이상 및 신체질환에 의한 기타 정신 장애

 

번조(煩燥)

가슴에서 열이 나 답답하며 안절부절 못하는 병증. [소문(素問)] <지진요대론(至眞要大論)>에 나옴. 번(煩)은 가슴에서 열이 나고 답답한 것이며 조(躁)는 참을성 없이 서두르고 안절부절 못하며 움직이는 것이다. 번(煩)과 조(躁)는 늘 붙여서 쓰는데 번조와 조변은 구별이 된다. [상한명리론(傷寒明理論)] 제2권에 "이른바 번조(煩躁)는 먼저 번(煩)하다가 점차 조(躁)에 이르는 것이다.(所謂煩躁者, 謂先煩漸至躁也.)"라고 하였다.

 

수족추철(手足抽掣)

어린아이의 수족이 늘어지고 땅기는 것.

이명 ; 수족추제(手足抽製)

 

심허(心虛)

(1) 심(心)의 음양(陰陽), 기혈(氣血)의 부족으로 인한 각종 병증. 일반 증상은 가슴이 두근거리고(心悸), 가슴이 아프며(心痛), 가슴이 벌렁거리고(怔忡), 숨이 짧으며(氣短), 잘 잊어버리고, 잘 놀라며(易驚), 가슴이 답답하고 즐겁지 않으며(心中悶悶不樂), 잠자리가 편안하지 아니하고(睡臥不安), 얼굴색이 밝지 못하며(面色不華), 자한(自汗), 도한(盜汗)을 흘리고, 팔다리가 저리며(肢麻), 설질이 담반눈(淡胖嫩)하거나 눈홍(嫩紅)하며, 맥이 허(虛)하거나 촉(促), 결(結), 대(代)하는 증상이 있다. (2) 심기허(心氣虛).

 

정신불수(精神不守)

심(心)은 신(神)의 집(舍)이 되므로 심에 사기(邪氣)가 침입하면 심이 신을 통솔하지 못하여 정신이 흐리고 헛소리를 하는 것.

풍담(風痰)

(1) 담증(痰證)의 하나. 담(痰)이 간경(肝經)을 뒤흔들어 발생하는 병증. 간경풍담(肝經風痰)이라고도 함. [의학입문(醫學入門)] 제5권에서 "간을 동요시키면 대부분 어지럽고 두풍(頭風)이 발생하며 눈꺼풀이 떨리고 눈이 침침하면서 뻑뻑하고 귓바퀴가 가려우며, 옆구리가 더부룩하면서 아프고 왼쪽이나 오른쪽 팔다리를 쓰지 못하며 나무처럼 뻣뻣하여지고 절뚝거리는 기증(奇證)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풍담(風痰)이라 한다.(動於肝, 多眩暈頭風, 眼目瞤動昏澀, 耳輪搔癢, 脇肋脹痛, 左癱右瘓, 麻木蜷跛奇證, 名曰風痰.)"라고 하였다. 청주백원자(靑州白圓子) 따위를 쓴다.(2) 담증(痰證)의 하나. 본래 담질(痰疾)이 있는데다가 풍사(風邪)를 감수하거나 풍열(風熱)이 뭉쳐 발생한 병증. 원나라 왕규(王珪)의 [태정양생주론(泰定養生主論)]에서 "풍담은 풍(風)을 감수하여 발생하는데, 풍열(風熱)이 뭉쳐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모두 본래 담병(痰疾)을 갖고 있는 환자가 바람이나 찬기운, 칠정, 뜨거운 기운, 음식(風, 寒, 氣, 熱, 味)으로 인하여 숨이 가쁘고 기침하며 가래를 뱉는 것이지, 이러한 5가지 담(痰)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風痰者, 因感風而發, 或因風熱怫鬱而然也. 此皆素抱痰疾者, 因風, 寒, 氣, 熱, 味而喘咯咳唾, 非別有此五種之痰.)"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뇌경색증; 뇌내출혈; 뇌혈관 질환의 후유증; 본태성(원발성) 고혈압

'^*^동의보감^*^ > 동의보감내경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자대성침중방(孔子大聖枕中方)  (0) 2015.11.03
주자독서환(朱子讀書丸)  (0) 2015.11.03
장원환(壯元丸)  (0) 2015.11.03
강심단(降心丹)  (0) 2015.11.03
가감보심탕(加減補心湯)   (0) 2015.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