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살이 쪘거나 여윈 데 따라 병증을 갈라보아야 한다

한들 약초방 2015. 12. 3. 14:51

 살이 쪘거나 여윈 따라 병증을 갈라보아야 한다

 

 

靈樞曰肥而澤者血氣有餘肥而不澤者氣有餘血不足瘦而無澤者血氣俱不足審察其形氣有餘不足而調之可以知逆順矣

『영추』에 “살이 찌고 윤기가 나는 것은 기혈(氣血) 넉넉한 것이고 살은 쪘으나 윤기가 없는 것은 기가 넉넉하고 혈이 부족한 것이다. 여위고 윤기가 없는 것은 혈기가 부족한 것이다. 그러므로 형체와 기가 넉넉한가 부족한가를 살펴보고 조절해야 하며 병이 역증[]인가 순증[]인가를 알아야 한다”고 하였다.

 

黑瘦者易治肥大肉厚赤白者難愈黑人耐風濕赤白者不耐風濕瘦人肉硬肥人肉軟肉軟則受病難愈《千金》

 살빛이 거멓고 여윈 사람은 병이 낫기 쉽고 살쪄서 힘살[] ()하며 살빛이 벌겋거나 사람은 병이 낫기 어렵다. 살빛이 검은 사람은 풍습(風濕) 견디어 내지만 벌겋거나 사람은 풍습을 견디어 내지 못한다. 여윈 사람은 힘살이 단단하고 살찐 사람은 힘살이 연한데 힘살이 연하면 병이 낫기 어렵다[천금].

 

氣衰則身冷血衰則膚硬《入門》

 () 쇠약하여 몸이 차고 () 쇠약하면 피부가 단단하다[입문].

 

肥人氣虛生寒寒生濕濕生痰瘦人血虛生熱熱生火火生燥故肥人多寒濕瘦人多熱燥也《丹心》

 살찐 사람은 () 허하므로 추워한다. 것은 () 생기게 하고 습은 () 생기게 한다. 여윈 사람은 혈이 허하므로 열이 난다. 열은 () ()하게 하고 화는 ()하게 한다. 그러므로 살찐 사람은 한증(寒證), 습증(濕證) 많고 여윈 사람은 열증(熱證), 조증(燥證) 많다[단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