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역절풍의 치료법[歷節風治法]

한들 약초방 2015. 12. 8. 09:11

 역절풍의 치료법[歷節風治法]

 

 

痛風多屬血虛血虛然後寒熱得以侵之多用芎歸佐以桃仁紅花薄桂威靈仙或用痛散《東垣》

통풍(痛風) 흔히 () ()한데 속한다. 병은 혈이 허해졌을 때에 () () 침범하면 생긴다. 이런 데는 궁궁이(천궁), 당귀를 많이 쓰고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박계(薄桂), 으아리(위령선) 등을 보조약으로 쓴다. 그리고 진통산( 痛散) 쓰기도 한다[동원].

 

丹溪治痛風法主血熱血虛血汚或挾痰皆不離四物潛行黃栢牛膝生甘草桃仁陳皮蒼朮薑汁隨證加減可謂發前人之所未發也《綱目》

 단계(丹溪) 통풍을 치료할 혈열(血熱), 혈허(血虛), 혈오(血汚), ()까지 겸한 것은 사물탕이나 잠행산으로 주로 치료했는데 여기에 황백, 쇠무릎(우슬), 감초(생것), 복숭아씨(도인), 귤껍질(陳皮), 삽주(창출), 생강즙 등을 증상에 맞게 가감하여 썼다. 이것은 옛날 사람들이 밝히지 못한 것을 처음으로 밝힌 것이다[강목].

사물탕(四物湯)   잠행산(潛行散)

 

治痛風大法蒼朮南星川芎白芷當歸酒芩在上加羌活威靈仙桂枝桔梗在下加牛膝防己木通黃栢《丹心》

 통풍을 치료하는 처방은 천남성,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당귀, 속썩은풀(황금, 술에 법제한 ) 되어 있는데 병이 윗도리에 있으면 강호리(강활), 으아리(위령선), 계지, 도라지(길경) 넣어 쓰고 병이 아랫도리에 있으면 쇠무릎(우슬), 황백, 으름덩굴(목통), 방기를 넣어 쓴다[단심].

 

薄桂治痛風無味而薄者能橫行手臂領南星蒼朮等至痛處《丹心》

 박계로는 통풍을 치료한다. 맛이 없는 박계의 기운은 손과 팔로 가는데 이때에 천남성, 삽주(창출) 등의 기운을 이끌고 아픈 곳으로 간다[단심].

  

風寒濕入於經絡以致氣血凝滯津液稽留久則沸鬱堅牢阻碍榮衛難行正邪交戰故作痛也須氣味辛烈暴悍之藥開鬱行氣破血豁痰則沸鬱開榮衛行而病方已也《方廣》

 (), (), () 3가지 사기가 경락(經絡) 들어가면 기혈(氣血) 엉키고 진액(津液) 머물러 있게 된다. 이것이 오래되면 속이 답답하고 경락에 기혈(氣血) 몰려 뜬뜬해지며 영위(榮衛) 돌지 못하고 정기(正氣) 사기(邪氣) 서로 싸우게 되므로 아프다. 이때에는 맛이 맵고 성질이 몹시 세고 빠른 약으로 몰린 것을 헤쳐 주고 기를 돌게 하며 어혈(瘀血) 풀어 주고 담을 삭여야 속이 답답하뎐 것이 풀리고 영위(榮衛) 돌아가면서 병이 낫는다[방광].

 

痛風宜用大羌活湯蒼朮復煎散防風天麻散疎風活血湯四妙散麻黃散潛行散二妙散龍虎丹活絡丹五靈丸

 통풍(痛風) 때에는 대강활탕, 창출부전산, 방풍천마산, 소풍활혈탕, 사묘산, 마황산, 잠행산, 이묘산, 용호단, 활락단, 오령환 등을 쓴다.

대강활탕(大羌活湯)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   방풍천마산(防風天麻散)

소풍활혈탕(疎風活血湯)   사묘산(四妙散)   마황산(麻黃散)   잠행산(潛行散)

이묘산(二妙散)   용호단(龍虎丹)   활락단(活絡丹)   오령환(五靈丸)

 

歷節風宜用神通飮定痛散虎骨散加減虎骨散麝香元乳香黑虎丹乳香定痛丸捉虎丹

 역절풍(歷節風) 때에는 신통음, 정통산, 호골산, 가감호골산, 사향원, 유향흑호단, 유향정통환, 착호단 등을 쓴다.

신통음(神通飮)   정통산(定痛散)   호골산(虎骨散)   가감호골산(加減虎骨散)

사향원(麝香元)   유향흑호단(乳香黑虎丹)   유향정통환(乳香定痛丸)  착호단(捉虎丹)

 

肢節腫痛宜用靈仙除痛飮

 팔다리의 뼈마디가 부으면서 아프면 영선제통음을 쓴다.

영선제통음(靈仙除痛飮)

 

痰飮注痛宜用芎夏湯控涎丹(方見痰飮)消痰茯(方見手部)半夏芩朮湯

 담음(痰飮) 왔다갔다하면서 아프면 궁하탕, 공연단(控涎丹,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소담복령환(消痰茯 , 처방은 손문에 있다), 반하금출탕 등을 쓴다.

궁하탕(芎夏湯)    공연단(控涎丹)

 

痛風烙宜用拈痛散當歸散

 통풍이 생겨 찜질할 때에는 점통산, 당귀산을 쓴다.

점통산(拈痛散)    당귀산(當歸散)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강활탕(大羌活湯)  (0) 2015.12.08
진통산( 痛散)   (0) 2015.12.08
역절풍의 증상[歷節風證狀]  (0) 2015.12.08
역절풍의 원인[歷節風病因]  (0) 2015.12.08
영양각탕(羚羊角湯)  (0) 2015.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