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보진탕(保眞湯)

한들 약초방 2015. 12. 19. 09:54

 

보진탕(保眞湯)

 

治虛勞骨蒸潮熱盜汗當歸生乾地黃白朮人參黃蜜炒各一錢赤芍藥甘草灸各八分半天門冬麥門冬陳皮白芍藥知母炒黃栢炒五味子柴胡地骨皮熟地黃各三分半蓮心赤茯白茯各六分右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 

허로로 골증조열(骨蒸潮熱) 식은땀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생건지황, 흰삽주(백출), 인삼, 단너삼(황기, 꿀로 축여 볶은 ) 각각 4g, 함박꽃뿌리(적작약), 감초(닦은 ) 각각 3.4g, 천문동, 맥문동, 귤껍질(陳皮),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지모(닦은 ), 황백(닦은 ), 오미자, 시호, 지골피, 찐지황(숙지황) 각각 1.4g, 연심, 벌건솔풍령(적복령),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驚悸加茯神遠志酸棗仁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는 복신, 원지, 메대추씨(산조인) 넣는다.

 

尿濁加猪澤瀉摕穨

 오줌이 흐린 데는 저령, 택사, 비해를 넣는다.

 

尿澁加木通石葦

 오줌이 나가지 않는 데는 으름덩굴(목통), 석위, 마디풀(편축) 넣는다.

 

遺精加牡蠣蓮子

 유정이 있는 데는 굴조개껍질(모려), 연씨를 넣는다.

 

燥熱加滑石石膏靑蒿鱉甲

 조열이 나는 데는 곱돌(활석), 석고, 제비쑥(청호), 자라등딱지(별갑) 넣는다.

 

盜汗加浮麥牡蠣麻黃根《新書》

 식은땀이 나는 데는 밀쭉정이(浮麥), 굴조개껍질(모려), 마황뿌리를 넣는다[신서].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신서(新書)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사(卷四) 허노(虛勞)

 

내용 ; 과로로 허열(虛熱)이 떠서 생기는 골증(骨蒸), 조열(潮熱), 도한(盜汗)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3.187 g. 굽는다.

당귀(當歸): 3.75 g.

맥문동(麥門冬): 131.25 g.

백복령(白茯苓): 2.25 g.

백작약(白芍藥): 131.25 g.

백출(白朮): 3.75 g.

생건지황(生乾地黃): 3.75 g.

숙지황(熟地黃): 131.25 g.

시호(柴胡): 131.25 g.

연심(蓮心): 2.25 g.

오미자(五味子): 131.25 g.

인삼(人蔘): 3.75 g.

적복령(赤茯苓): 2.25 g.

적작약(赤芍藥): 3.187 g.

지골피(地骨皮): 131.25 g.

지모(知母): 131.25 g. 볶는다.

진피(陳皮): 131.25 g.

천문동(天門冬): 131.25 g.

황기(黃芪): 3.75 g. 꿀을 발라서 볶는다.

황백(黃柏): 131.25 g. 볶는다.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주치병증

조열도한(潮熱盜汗)

주기적으로 열이 나면서 밤중에 자신도 모르게 땀이 나면서 깨면 땀이 멎는 것.

 

허로골증(虛勞骨蒸)

허로로 인한 골증

===========================================================================

출처 ;  태평혜민화제국방(太平惠民和剂局方)(11세기)

편명 ;  권지이(卷之二) 치상한(治傷寒)

 

내용 ; 과로로 허열(虛熱)이 떠서 생기는 골증(骨蒸), 조열(潮熱), 도한(盜汗)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75 g. 볶는다.

고본(藁本): 150 g. 노(蘆)를 제거한다.

창출(蒼朮): 600 g. 씻어서 부수어 밀기울에 볶는다.

천궁(川芎): 150 g.

 

조제용법 ; 약재를 분말을 내어 한 번에 11.25g씩, 물 1잔반, 생강 3조각과 함께 끓여서 찌꺼기 부분을 빼고 따뜻하게 수시로 복용한다.

 

주치병증

사시상한(四時傷寒)

풍한감모(風寒感冒)와 같음. 풍한사(風寒邪)를 외감(外感)해 일어남. 오한, 발열, 두통, 팔다리가 쑤시고, 코가 메고 재채기가 나며, 멀건 콧물이 흐르고, 설태는 희고, 맥은 부(浮), 긴(緊)함. 또 목이 붓고 아프거나, 가래가 성해 숨이 차기도 함.

양방병증 ; 감기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평환(太平丸)  (0) 2015.12.19
보화탕(保和湯)  (0) 2015.12.19
허로를 치료하는 갈가구의 10가지 약  (0) 2015.12.19
음분생양탕(陰分生陽湯)  (0) 2015.12.19
위생탕(衛生湯)  (0) 2015.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