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치자죽여탕(梔子竹茹湯)

한들 약초방 2015. 12. 22. 13:56

 치자죽여탕(梔子竹茹湯)

 

♣ 治胃熱惡心乾嘔不止梔子炒三錢陳皮二錢靑竹茹一錢半右作一貼水煎和薑汁服《醫鑑》

 

♣ 위에 열이 있어서 메스껍고 헛구역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산치자(닦은 ) 12g, 귤껍질(陳皮) 8g, 푸른참대속껍질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생강즙을 타서 먹는다[의감].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의감(醫鑑)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오(卷五) 구토(嘔吐)

 

내용 ; 위열(胃熱)로 메스껍고 헛구역질이 멈추지 않은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진피(陳皮): 7.5 g.

청죽여(靑竹茹): 3.75 g.

치자(梔子): 11.25 g. 볶는다.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생강즙을 타서 먹는다.

 

주치병증

건구(乾嘔)

소리만 나고 토해 내는 것이 없는 구토.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구얼병제후(嘔噦病諸候)>에 "건구는 위기(胃氣)가 거스르기 때문이다. 메스꺼워서 토할 듯하나 토해도 나오는 것이 없다.(乾嘔者, 胃氣逆故也. 但嘔而欲吐, 吐而無所出.)"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구토

 

위열(胃熱)

열사(熱邪)가 위를 침범하거나 지나치게 익히고 태운 음식을 과식하여 위(胃)에 조열증(燥熱證)이 생긴 병증. 위화(胃火), 위열화화(胃熱化火)라고도 한다. 조갈이 나고, 입에서 냄새가 나며, 조잡(嘈雜) 증세와 쉬이 배가 고프고 가슴앓이가 있으며, 소변이 적고 붉은색이며, 대변이 단단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위열(胃熱)이 화(火)로 화하면 입 속이 헐고, 잇몸이 붓고 아픈 증상 등이 생기는데 처음에는 청위사화(淸胃瀉火)를 하고 후에 위음(胃陰)을 자양(滋養)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