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식비로 먹은 것을 토하는 것[食痺吐食]

한들 약초방 2015. 12. 22. 13:57

 식비로 먹은 것을 토하는 [食痺吐食]

 

♣ 食痺謂食已心下痛陰陰然不可名也不可忍也吐出痛乃止此胃氣逆而不下行也《內經》

♣ 식비(食痺)라는 것은 음식을 먹고 나면 명치 [心下] 무엇이라고 말할 없이 은은히[陰陰然] 참을 없이 아프다가도 토하면 멎는 것이다. 이것은 위기가 치밀어 올라와 내려가지 못해서 생긴 것이다[내경].

 

♣ 痛而嘔爲寒經云寒氣客於腸胃厥逆上出故痛而嘔也《綱目》

♣ 아프면서 토하는 것은 기운 때문이다. 『내경』에 “찬 기운이 장위(腸胃) 침범하면 궐역(厥逆) 생겨 치밀어 오르기 때문에 아프고 토하게 된다”고 씌어 있다[강목].

 

♣ 嘔吐而弦者肝勝于脾也由風痰覇絆于脾胃之間故惡心欲吐飮食不下當先實氣脾土宜茯半夏湯麥天湯白朮茯湯金花丸水煮金花丸《東垣》

♣ 토할 맥이 () 것은 간목(肝木) 비토(脾土) 억누르기 때문이다. 풍담(風痰) 비위 사이에 얽혀 있으면 메스껍고 토할 것같으면서 음식이 내려가지 않는다. 이런 때에는 먼저 비토를 실하게 하여야 하는데 복령반하탕(茯 半夏湯)  맥천탕(麥天湯)  백출복령탕(白朮茯 湯)   금화환(金花丸)  수자금화환(水煮金花丸)   쓴다[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