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부와 관련된 기침을 치료하는 약[臟腑治咳藥] ♣
♣ 肺咳宜麻黃湯(方見寒門)心咳宜桔梗湯(方見下)肝咳宜小柴胡湯(方見寒門)脾咳宜升麻湯(方見風門)腎咳宜麻黃附子細辛湯(方見寒門)胃咳宜烏梅丸(方見蟲門)膽咳宜黃芩湯加半夏生薑(半夏黃芩芍藥甘草各二錢薑棗煎)大腸咳宜赤石脂禹餘粮湯(方見寒門)小腸咳宜芍藥甘草湯(方見腹門)膀胱咳宜茯巔甘草湯(茯巔桂枝各二錢甘草一錢入薑煎)三焦咳宜錢氏異功散(方見內傷)《海藏》
♣ 폐(肺)와 관련되어 생긴 기침 때에는 마황탕(麻黃湯) (麻黃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을 쓰고 심(心)과 관련되어 생긴 기침 때에는 길경탕(桔梗湯) (桔梗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쓰며 간(肝)과 관련되어 생긴 기침 때에는 소시호탕(小柴胡湯) (小柴胡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을 쓴다. 비(脾)와 관련되어 생긴 기침 때에는승마탕(升麻湯) (升麻湯, 처방은 풍문(風門)에 있다)을 쓰고 신(腎)과 관련되어 생긴 기침 때에는 마황부자세신탕(麻黃附子細辛湯) (麻子附子細辛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을 쓴다. 위(胃)와 관련되어 생긴 기침 때에는 오매환(烏梅丸) (烏梅丸, 처방은 충문(蟲門)에 있다)을 쓰고 담(膽)과 관련되어 생긴 기침 때에는 황금탕(黃芩湯) 에 끼무릇(반하), 생강을 넣어 쓰고(끼무릇(반하), 속썩은풀(황금),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감초 각각 8g에 생강, 대추를 넣어 달여 먹는다) 대장(大腸)과 관련되어 생긴 기침 때에는 적석지우여량탕(赤石脂禹餘粮湯) (赤石脂禹餘粮湯,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을 쓰며 소장(小腸)과 관련되어 생긴 기침 때에는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 (芍藥甘草湯, 처방은 배문(腹門)에 있다)을 쓴다. 방광과 관련되어 생긴 기침 때에는 복령계감탕(茯 桂甘湯) 복령감초탕(茯 甘草湯, 흰솔풍령(백복령), 계지 각각 8g과 감초 4g에 생강을 넣어서 달인 것)을 쓰고 3초(三焦)와 관련되어 생긴 기침 때에는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錢氏異功散, 처방은 내상문(內傷門)에 있다)을 쓴다[해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