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삼요탕(三拗湯)

한들 약초방 2015. 12. 23. 12:59

 삼요탕(三拗湯)

 

治感風寒咳嗽鼻塞聲重失音麻黃不去根節杏仁不去皮尖甘草不灸不去皮各一錢半右作一貼入薑五片水煎服《局方》

 

풍한사에 감촉되어 기침이 나고 코가 메며 목소리가 탁하고 목이 [失音] 것을 치료한다.

마황(뿌리와 마디를 버리지 않은 ) 살구씨(행인, 꺼풀과 끝을 버리지 않은 ) 감초(닦지도 않고 껍질도 버리지 않은 ) 각각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오(卷五) 해수(咳嗽). 국방(局方)

 

내용 ; 풍한(風寒)에 감촉(感觸)되어 기침이 나고 코 막히고 목소리가 무겁고 실음(失音)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5.625 g. 굽지 않고 껍질을 벗기지 않는다.

마황(麻黃): 5.625 g. 뿌리와 마디를 제거하지 말 것

행인(杏仁): 5.625 g. 껍질과 뾰족한 부분을 제거하지 않는다.

제조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주치병증

풍한(風寒)

풍사(風邪)가 한사(寒邪)와 결합된 것. [소문(素問)] <옥기진장론(玉氣眞藏論)>에서 "풍한(風寒)이 인체(人體)에 침범하면, 호모(毫毛)가 모두 곧게 서고 피부(皮膚)가 닫혀서 열(熱)이 나게 된다.(風寒客於人, 使人毫毛畢直, 皮膚閉而爲熱.)"라고 하였다.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오(卷第五) 해수(咳嗽)

 

내용 ; 풍한(風寒)에 감촉(感觸)되어 기침이 나고 코 막히고 목소리가 무겁고 실음(失音)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5.625 g. 굽지 않고 껍질을 벗기지 않는다.

마황(麻黃): 5.625 g. 뿌리와 마디를 제거하지 말 것

행인(杏仁): 5.625 g. 껍질과 뾰족한 부분을 제거하지 않는다.

제조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주치병증

해수다담(咳嗽多痰)

가래가 많은 기침

 

어음불출(語音不出)

말이 나오지 않는 것,

 

비색성중(鼻塞聲重)

콧속(鼻腔)이 막혀 숨쉬기가 곤란한 병증으로 목소리가 낮고 둔탁한 것.

 

흉만단기(胸滿短氣)

가슴이 그득하고 숨이 짧은 증상

 

감모풍사(感冒風邪)

풍사(風邪)를 감수함으로써 발생한 감기.

 

상풍상랭(傷風傷冷)

상풍은 풍사(風邪)가 표(表)를 침입함으로써 발생하는 외감급성병(外感急性病). 상랭은 차가운 것에 상한 것.

 

두목통현(頭目痛眩)

머리와 눈이 아프고 아찔해지는 것.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감삼요탕(加減三拗湯)  (0) 2015.12.23
오요탕(五拗湯)  (0) 2015.12.23
금비초산(金沸草散)  (0) 2015.12.23
관동화산(款冬花散)  (0) 2015.12.23
신출산(神朮散)   (0) 2015.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