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화산(款冬花散) ♣
♣ 治寒癰相交肺氣不利咳嗽痰盛麻黃貝母阿膠珠各二錢杏仁甘草灸各一錢知母桑白皮半夏款冬花各五分右犫作一貼薑三片水煎服《得效》
♣ 한사(寒邪)나 막히는 것이 서로 어울려서 폐기(肺氣)가 순조롭지 못하여 기침이 나고 담(痰)이 성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패모, 아교주 각각 8g, 살구씨(행인), 감초(닦은 것) 각각 4g, 지모,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끼무릇(반하), 관동화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오(卷五) 해수(咳嗽). 득효(得效)
구성약재
감초(甘草): 3.75 g. 굽는다.
관동화(款冬花): 1.875 g.
마황(麻黃): 7.5 g.
반하(半夏): 1.875 g.
상백피(桑白皮): 1.875 g.
지모(知母): 1.875 g.
패모(貝母): 7.5 g.
행인(杏仁): 3.75 g.
아교주(阿膠珠): 7.5 g.
제조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주치병증
폐기불리(肺氣不利)
폐기가 순조롭지 못한 것. 폐의 호흡 기능, 숙강(肅降) 기능 및 수도(水道)를 통조(通調)하는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것을 말한다. 폐는 온몸의 기를 주관하여 수도를 잘 통하게 하고 조절해 주므로 만일 어떤 원인에 의해 폐기가 불리해지면 기침이 나고, 코가 막히며, 기가 거슬러 오르는 등의 증세가 발생하며 이 외에도 수액(水液)의 운행과 수포(輸布)에 영향을 주어 소변의 배설이 좋지 않게 되어 부종(浮腫), 천해(喘咳)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해수담소(咳嗽痰少)
가래가 적은 기침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오(卷第五) 해수(咳嗽)
구성약재
감초(甘草): 75 g. 굽는다.
관동화(款冬花): 37.5 g. 가지를 제거한다.
마황(麻黃): 150 g. 뿌리와 마디를 제거한다.
반하(半夏): 37.5 g.
상백피(桑白皮): 37.5 g. 씻고 불에 쬔다.
아교(阿膠): 150 g. 합분으로 볶아서 합분을 제거한다.
지모(知母): 37.5 g.
패모(貝母): 150 g. 심을 제거하고 밀가루로 볶는다.
행인(杏仁): 75 g. 껍질과 뾰족한 부분을 제거하고 밀가루와 볶는다.
제조용법 ; 잘게 썰어 매번 7.5g을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식후에 따뜻하게 복용한다.
주치병증
폐기불리(肺氣不利)
폐기가 순조롭지 못한 것. 폐의 호흡 기능, 숙강(肅降) 기능 및 수도(水道)를 통조(通調)하는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것을 말한다. 폐는 온몸의 기를 주관하여 수도를 잘 통하게 하고 조절해 주므로 만일 어떤 원인에 의해 폐기가 불리해지면 기침이 나고, 코가 막히며, 기가 거슬러 오르는 등의 증세가 발생하며 이 외에도 수액(水液)의 운행과 수포(輸布)에 영향을 주어 소변의 배설이 좋지 않게 되어 부종(浮腫), 천해(喘咳)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해수천만(咳嗽喘滿)
기침을 하면서 숨을 헐떡이며 가슴이 그득하고 답답한 것.
양방병증 ; 천식
인익종통(咽嗌腫痛)
목구멍이 붓고 아픈 것.
한열상교(寒熱相交)
한열이 서로 교잡한 증상
흉격번민(胸膈煩悶)
흉격이 답답하고 불편함
후중하합(喉中呀呷)
특히 기침할 때에 목구멍에서 소리가 나는 것.
비색청체(鼻塞淸涕)
콧속[鼻腔]이 막혀 숨쉬기가 곤란한 병증.
두통현모(頭痛眩冒)
머리가 아프면서 눈이 어지럽고 침침한 것을 말함.
지체권동(肢體倦疼)
팔다리와 몸이 고달프고 아픈 것을 말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