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자소음자(紫蘇飮子)

한들 약초방 2015. 12. 23. 13:07

 자소음자(紫蘇飮子)

 

治脾肺虛寒咳嗽痰盛紫蘇葉桑白皮靑皮杏仁五味子麻黃陳皮甘草各一錢人參半夏各六分右作一貼入薑三水煎服《丹心》

 

비와 폐가 ()하고 차서 기침이 나고 담이 성하는 것을 치료한다.

차조기잎(자소엽),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선귤껍질(청피), 살구씨(행인), 오미자, 마황, 귤껍질(陳皮), 감초 각각 4g, 인삼, 끼무릇(반하) 각각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십사(卷第十四) 호태(護胎)

 

내용 ; 비(脾)와 폐(肺)가 허한(虛寒)해서 담(痰)이 많은 기침을 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3.75 g. 굽는다.

당귀(當歸): 1.125 g.

대복피(大腹皮): 18.75 g.

백작약(白芍藥): 18.75 g.

인삼(人蔘): 18.75 g.

자소(紫蘇): 37.5 g.

진피(陳皮): 18.75 g.

천궁(川芎): 18.75 g.

총(蔥):

 

제조용법 ; 약재들을 한번에 11.25g을 취하여 물 1잔반, 생강 4조각과 함께 끓여서 복용한다.

 

주치병증

해수(咳嗽)

기침. 풍한서습(風寒暑濕)이 피모(皮毛)로 들어오면 피모는 폐와 합하므로 폐에 먼저 들어가고 차례로 오장에 전함. 칠정, 기포(七精飢飽)로 내상(內傷)하면 아래에서 음(陰)이 손상되므로 오장의 화(火)가 올라와 폐를 다그쳐서 기침이 남. 외감으로 생기면 발병이 비교적 빠르고 경과 과정이 짧으며 두통, 신통(身痛), 오한, 발열 등 외감 표증 증상이 겸해서 나타남. 내상이면 발병이 완만하고 경과도 길며 오한, 조열(潮熱), 담다대혈(痰多帶血), 기단(氣短), 후건(喉乾) 등과 해당 장부의 기능장애 증상이 함께 나타남.

 

양방병증 ; 기침; 백일해; 고름가슴; 좁쌀 결핵; 급성 기관염; 급성 인두염; 급성 편도염; 급성 후두염; 만성 후두염; 기관지확장증; 급성 세기관지염; 급성 후두기관염; 만성 후두기관염; 후두 디프테리아; 폐의 괴저 및 괴사; 기관의 악성신생물; 급성 코인두염[감기]; 가슴샘의 악성신생물; 단순성 만성 기관지염; 종격동의 고름집(농양); 상세불명의 상기도질환;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 점액농성 만성 기관지염; 고체 및 액체에 의한 폐렴; 상세불명의 만성 기관지염; 신체형 자율신경 기능장애; 폐렴사슬알균에 의한 폐렴; 기관지 및 폐의 악성신생물;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폐렴; 상세불명의 급성 상기도 감염; 상세불명의 급성 하기도 감염;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 달리 분류되지 않은 세균성 폐렴; 폐렴을 동반한 폐의 고름집(농양); 기타 다발부위의 급성 상기도 감염;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의한 폐렴; 달리 분류되지 않은 바이러스성 폐렴; 심장, 종격동 및 가슴막의 악성신생물; 바이러스가 확인되지 않은 인플루엔자; 급성 폐쇄성 후두염[크루프] 및 후두개염; 폐렴을 동반하지 않은 폐의 고름집(농양); 단순성 및 점액농성 혼합형 만성기관지염;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호흡기 결핵; 확인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인플루엔자;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감염성 병원체에 의한 폐렴; 기타 및 부위불명의 호흡기 및 가슴내 장기의 악성신생물; 세균학적으로나 조직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호흡기 결핵

 

해수담성(咳嗽痰盛)

가래가 많은 기침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계환(薑桂丸)  (0) 2015.12.23
귤소산(橘蘇散)  (0) 2015.12.23
행자탕(杏子湯)   (0) 2015.12.23
화개산(華蓋散)   (0) 2015.12.23
구보음(九寶飮)  (0) 2015.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