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노수(勞嗽)

한들 약초방 2015. 12. 25. 09:27

 노수(勞嗽)

 

虛勞咳嗽也

허로(虛勞)하여 생긴 기침을 말한다.

 

 勞嗽者盜汗出兼痰多作寒熱宜補陰淸金四物湯加竹瀝薑汁

 노수로 식은땀이 나고 가래가 많고 춥다가 열이 때에는 () 보하고 폐금(肺金) 시원하게 해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사물탕(四物湯) 참대기름(죽력) 생강즙을 넣어 쓴다.

 

 陰虛火動而嗽四物合二陳加黃栢知母

 음이 허하고 화가 동하여 기침이 나는 데는 사물탕(四物湯) 이진탕(二陳湯) 섞은 황백과 지모를 넣어 쓴다.

 

 陰虛喘嗽或吐血四物加黃栢知母五味子麥門冬桑白皮地骨皮《醫鑑》

 음이 허하여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피를 토하는 데는 사물탕(四物湯) 황백, 지모, 오미자, 맥문동,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지골피를 넣어서 쓴다[의감].

 

 好色之人元氣虛弱咳嗽不愈宜瓊玉膏(方見身形)治虛勞乾咳嗽最捷《丹心》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는 사람이 원기가 허약하여 기침이 멎지 않는 데는 경옥고(瓊玉膏) (瓊玉膏, 처방은 신형문(身形門) 있다) 쓴다. 약은 허로로 마른기침하는 것을 치료하는 제일 좋다[단심].

 

 勞嗽宜人參淸肺湯加味二母丸人參芎歸湯加味人參紫散潤肺丸補肺湯溫金散大寧嗽湯知母湯寧嗽膏大阿膠元《諸方》

 노수에는 인삼청폐탕(人蔘淸肺湯)   가미이모환(加味二母丸)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  가미인삼자원산(加味人蔘紫 散)  윤폐환(潤肺丸)  보폐탕(補肺湯) 온금산(溫金散)  대녕수탕(大寧嗽湯)  지모탕(知母湯) 영수고(寧嗽膏) 대아교원(大阿膠元) 쓴다[저방].

 

 酒色過度虛勞少血津液內耗心火自炎遂使燥熱乘肺唾膿血上氣涎潮其嗽連續而不已須用六味地黃丸(方見虛勞)加橘紅貝母黃栢知母《入門》

주색(酒色) 지나쳐서 허로가 되면 혈이 적어지고 진액(津液) 줄어들면 심화(心火) 저절로 타오르게 된다. 그러면 조열(燥熱) 폐로 들어가게 되어 피고름을 뱉게 되고 기가 [] 치밀며 담이 끓으면서[涎潮] 기침이 연이어 나게 된다. 이런 때에는 반드시 육미지황환(六味地黃)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 , 처방은 허로문(虛勞門) 있다) 귤홍, 패모, 황백, 지모를 넣어 써야 한다[입문].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미이모환(加味二母丸)  (0) 2015.12.25
인삼청폐탕(人蔘淸肺湯)  (0) 2015.12.25
청금강화탕(淸金降火湯)  (0) 2015.12.24
가려륵환(訶黎勒丸)  (0) 2015.12.24
청화환(淸化丸)  (0) 2015.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