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 貼法]

한들 약초방 2016. 1. 7. 10:00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 貼法]

 

 

 

凡瘡腫初生似有頭者卽貼溫熱藥引出熱毒火就燥之義也於四畔赤處貼生寒藥折伏熱勢驅逐邪惡乃撲火之義也腫皮厚者以故軟帛或紙花子塗藥貼之腫皮薄者用疎紗或薄紙塗藥貼之乾則換易新者宜用乳香膏圍藥鐵井欄水澄膏沈水膏三神膏洪寶膏妙勝散《精要》

창종(瘡腫) 생긴 초기에 꼭대기가 있는 같을 때에는 성질이 따뜻하거나 뜨거운 약을 붙여서 열독을 빼야 한다. 이것은 불이 마른 곳으로 퍼져가는 이치를 이용한 것이다. 헌데 둘레가 벌겋게 되면서 때에는 그곳에 성질이 약을 생것으로 붙여서 잠복되어 있는 열기를 억누르고 사기(邪氣) 악기(惡氣) 몰아내야 한다. 이것은 화를 치는 것을 의미한다. 헌데 딱지가 두꺼우면 부드러운 천이나 두꺼운 종이에 약을 발라 붙여야 하고 헌데 딱지가 얇으면 엷은 천이나 엷은 종이에 약을 발라 붙여야 하는데 마르면 갈아 붙인다.

유향고(乳香膏) 위약(圍藥) 철정란(鐵井欄) 수증고(水澄膏) 침수고(沈水膏) 삼신고(三神膏) 홍보고(洪寶膏) 묘승산(妙勝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정요].

 

貼膏藥之法瘡口有膿血不淨痂瘢閉須用藥水洗淨拭乾侯水眞乾却用膏貼貼後有黃水膿血出流用紙從側畔出一日一換黃水膿血止二三日一換貼至愈宜用神異膏萬應膏靈應膏太乙膏雲母膏善應膏米膏斂瘡散挑花散紅玉散生肌散木香檳散竹筒吸毒方《得效》

고약을 붙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헌데 구멍에 피고름이 있어서 깨끗하지 못하거나 딱지가 앉았을 때에는 반드시 약물로 씻은 다음 수건으로 물기가 없이 닦고 고약을 붙여야 한다. 고약을 붙인 뒤에 누런 진물이나 피고름이 나오면 종이로 묻혀내거나 옆으로 흐르게 하고 하루 1번씩 고약을 갈아 붙여야 한다. 누런 진물이나 피고름이 멎으면 2-3일에 1번씩 갈아 붙이되 나을 때까지 해야 한다. 그리고 신이고(神異膏)  만응고(萬應膏)  영응고(靈應膏)  태을고(太乙膏)  운모고(雲母膏)  선응고(善應膏)  나미고( 米膏)  염창산(斂瘡散)

도화산(桃花散)  홍옥산(紅玉散)  생기산(生肌散)  목향빈랑산(木香檳 散) 이나 대롱으로 독기를 빨아내는 방법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凡付貼之藥須是細末則不痛《直指》

 붙이는 모든 약들은 반드시 보드랍게 가루내어 써야 아프지 않다[직지].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약(圍藥)   (0) 2016.01.07
유향고(乳香膏)   (0) 2016.01.07
소금 끓인 물[監湯]   (0) 2016.01.07
뽕나무잿물[桑灰水]   (0) 2016.01.07
건애탕(乾艾湯)   (0) 2016.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