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약(圍藥) ♣
◈南星草烏黃栢白奁各二兩五倍子一兩炒右末水調如糊隨四圍濖如墻壁可移險處於不險處如神《綱目》
◈천남성, 바꽃(초오), 황백, 백급 각각 80g, 오배자(닦은 것)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풀처럼 되게 개서 헌데 둘레에 담벽처럼 테를 돌려서 붙인다. 이것은 위험한 것을 위험하지 않게 변동시키는 좋은 방법이다[강목].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강목(綱目)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내용 ; 옹저(癰疽)에 붙여서 열독(熱毒)을 빼내는 처방임
구성약재 남성(南星): 75 g. 백급(白芨): 75 g. 오배자(五倍子): 37.5 g. 볶는다. 초오(草烏): 75 g. 황백(黃柏): 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물에 풀처럼 되게 개서 헌데 둘레에 담벽처럼 테를 돌려서 붙인다. 이것은 위험한 것을 위험하지 않게 변동시키는 좋은 방법이다.
주치병증 옹저(癰疽) (1)기혈(氣血)이 독사(毒邪)에 의해 막혀서(阻滯) 기육(肌肉)과 골(骨) 사이에서 발생하는 창종(瘡腫). (2)옹(癰)과 저(疽)를 묶어 일컬음. 창(瘡) 구멍이 얕으면서 넓은 것이 옹(癰)으로 양(陽)에 속하며, 깊으면서 오래된 것이 저(疽)로 음(陰)에 속한다. (3)큰 부스럼. 양방병증 ; 농양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증고(水澄膏) (0) | 2016.01.07 |
---|---|
철정란(鐵井欄) (0) | 2016.01.07 |
유향고(乳香膏) (0) | 2016.01.07 |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 貼法] (0) | 2016.01.07 |
소금 끓인 물[監湯] (0) | 2016.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