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수고(沈水膏) ♣
◈治癰疽發背排膿斂毒大南星七錢半白奁白芷赤小豆半夏生貝母各五錢木鱉子仁乳香沒藥各二錢半雄黃一錢右爲末蜜水調付紗貼《直指》
◈옹저와 등창을 치료하는데 고름을 빠지게 하고 독기를 없앤다. 천남성(큰 것) 30g, 백급, 구릿대(백지), 붉은팥(적소두), 끼무릇(반하), 패모(생것) 각각 20g, 목별자인, 유향, 몰약 각각 10g, 석웅황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물에 개서 천에 발라 붙인다[직지].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단심(丹心)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내용 ; 등에 난 옹저(癰疽)에서 농(膿)을 배출하고 독(毒)을 없애는 처방임
구성약재 남성(南星): 28.125 g. 큰 것 목별자(木鼈子): 9.375 g. 몰약(沒藥): 9.375 g. 반하(半夏): 18.75 g. 생 것. 백급(白芨): 18.75 g. 백지(白芷): 18.75 g. 웅황(雄黃): 3.75 g. 유향(乳香): 9.375 g. 적소두(赤小豆): 18.75 g. 패모(貝母): 18.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봉밀물에 개서 천에 발라 붙인다.
주치병증 옹저발배(癰疽發背) 옹저(癰疽)가 등에 생긴 것. 양방병증 ; 농양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보고(洪寶膏) (0) | 2016.01.07 |
---|---|
삼신고(三神膏) (0) | 2016.01.07 |
수증고(水澄膏) (0) | 2016.01.07 |
철정란(鐵井欄) (0) | 2016.01.07 |
위약(圍藥) (0) | 2016.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