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향백출산(五香白朮散) ♣
◈治肺癰生肺金益脾土進飮食人參白朮山藥白茯巔薏苡仁白扁豆桔梗縮砂蓮肉白豆埼甘草各二錢沈香木香乳香丁香藿香各一錢右爲末每三錢蘇鹽湯調下大棗湯亦可《得效》
◈폐옹을 치료하는데 폐금(肺金)을 생(生)하고 비토(脾土)를 보하며 음식을 잘 먹게 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마(산약), 흰솔풍령(백복령), 율무쌀(의이인), 까치콩(백편두), 도라지(길경), 사인, 연밥, 백두구, 감초 각각 8g. 침향, 목향, 유향, 정향, 곽향 각가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차조기와 소금을 넣어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대추를 달인 물에 타서 먹어도 좋다[득효].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십구(券第十九) 창종과(瘡腫科) 폐옹(肺癰)
내용 ; 폐옹(肺癰)을 치료하는데, 폐금(肺金)을 생(生)하고 비토(脾土)를 보(補)하여 음식을 잘 먹게 만드는 처방임
구성약재 곽향엽(藿香葉): 18.75 g. 길경(桔梗): 37.5 g. 목향(木香): 18.75 g. 백두구(白豆蔲: 37.5 g. 백복령(白茯苓): 37.5 g. 백출(白朮): 37.5 g. 분초(粉草): 37.5 g. 산약(山藥): 37.5 g. 연육(蓮肉): 37.5 g. 유향(乳香): 18.75 g. 의이인(薏苡仁): 37.5 g. 인삼(人蔘): 37.5 g. 정향(丁香): 18.75 g. 축사(縮砂): 37.5 g. 침향(沈香): 18.75 g. 편두(扁豆): 37.5 g.
조제용법 ; 가루낸 것을 소염탕(蘇鹽湯)으로 공복에 복용한다.
주치병증 폐옹(肺癰) 폐부(肺部)에 생기는 옹양(癰瘍). 폐옹(肺雍)이라고도 함. 풍열사독(風熱邪毒)을 외감(外感)하거나 풍한(風寒)이 열로 변하여 폐에 쌓임으로써 폐가 열에 의하여 달구어져 열이 옹체(壅滯)하고 피가 맺혀 울결된 것이 오래되면 썩고 곪음으로써 발생한다. 열이 나다가 추워서 떨며 기침이 나고 가슴이 아프며 숨이 급한데 심하면 기침이 나고 숨이 가빠 편히 눕지 못하며 비릿한 냄새가 나고 마치 고름같이 끈적한 가래를 뱉으며, 혹은 기침을 하고 피고름을 뱉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금궤요략(金匱要略)] <폐위폐옹해수상기병맥증치(肺痿肺癰咳嗽上氣病脈證治)>에서 "기침하면서 가슴이 그득하고 오한이 심하여 덜덜 떨며 맥이 삭(數)하고 목이 마르나 갈증은 나지 않으며, 때때로 탁(濁)하고 비린내가 나는 침이 나오다가 오래되면 미음과 같은 고름을 토하는 것이 폐옹(肺癰)이다.(咳而胸滿, 振寒, 脈數, 咽乾不渴, 時出濁唾腥臭, 久久吐膿如米粥者, 爲肺癰)"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기관; 종격동; 고름가슴; 폐의 괴저 및 괴사; 기관의 악성신생물; 가슴샘의 악성신생물; 종격동의 고름집(농양); 상세불명의 호흡기계통; 기관지 및 폐의 악성신생물; 폐렴을 동반한 폐의 고름집(농양); 가슴내 장기의 양성 지방종성 신생물; 심장, 종격동 및 가슴막의 악성신생물; 폐렴을 동반하지 않은 폐의 고름집(농양); 기타 및 부위불명의 호흡기 및 가슴내 장기의 악성신생물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가지 처방 (0) | 2016.01.07 |
---|---|
목단피탕(牡丹皮湯) (0) | 2016.01.07 |
황혼탕(黃昏湯) (0) | 2016.01.07 |
위엽탕(葦葉湯) (0) | 2016.01.07 |
소농음(消膿飮) (0) | 2016.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