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심산(淸心散) ♣
◈治心癰及癰疽熱證遠志赤茯巔赤芍藥生乾地黃麥門冬知母甘草生各一錢右犫作一貼入薑三棗二水煎服加黃連尤佳《入門》
◈심옹과 옹저의 열증을 치료한다. 원지, 벌건솔풍령(적복령), 함박꽃뿌리(적작약), 생건지황, 맥문동, 지모, 감초(생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황련을 넣으면 더 좋다[입문].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입문(入門)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칠(卷七) 옹저(癰疽) 상(上)
구성약재 감초(甘草): 3.75 g. 생 것. 맥문동(麥門冬): 3.75 g. 생건지황(生乾地黃): 3.75 g. 원지(遠志): 3.75 g. 적복령(赤茯苓): 3.75 g. 적작약(赤芍藥): 3.75 g. 지모(知母): 3.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황련을 넣으면 더 좋다.
주치병증 심옹(心癰)
거궐혈(巨闕穴) 자리에 생기는 옹(癰). 거궐혈은 심(心)의 모혈(募穴)이므로 이렇게 이름을 붙였다. [성제총록(聖濟總錄)] 제128권에서 "거궐(巨闕) 부위가 은은히 아픈 것은 심저(心疽)이고, 심장 부위 위로 살이 약간 부어 오른 것은 심옹(心癰)이다.(巨闕隱隱而痛者, 心疽也. 心上肉微起者, 心癰也.)"라고 하였다. 이는 심화(心火)가 몹시 성(盛)한데다 평소에 술을 지나치게 마셨거나 맵고 뜨거운 음식을 즐겨 먹어 열이 쌓여 화(火)가 되어 일어난다 양방병증 ; 급성 심장막염
열증(熱證)
팔강(八綱)의 하나로 양기(陽氣)가 음기(陰氣)보다 항성(亢盛)하거나 열사(熱邪)가 성행하여 발생하는 병증. 신열(身熱), 오열(惡熱), 번조(煩躁), 구갈희랭음(口渴喜冷飮), 소변단적(小便短赤), 대변비결(大便秘結), 면색적(面色赤), 설질홍(舌質紅), 태건황(苔乾黃), 혹 건흑(乾黑), 맥삭(脈數)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표열증(表熱證), 이열증(裏熱證), 허열증(虛熱證), 실열증(實熱證)의 구분이 있다.
옹저(癰疽) (1)기혈(氣血)이 독사(毒邪)에 의해 막혀서(阻滯) 기육(肌肉)과 골(骨) 사이에서 발생하는 창종(瘡腫). (2)옹(癰)과 저(疽)를 묶어 일컬음. 창(瘡) 구멍이 얕으면서 넓은 것이 옹(癰)으로 양(陽)에 속하며, 깊으면서 오래된 것이 저(疽)로 음(陰)에 속한다. (3)큰 부스럼. 양방병증 ; 농양
=================================================================================== 출처 ; 경악전서(景岳全書)(1610년) 편명 ; 권지오십사 서집 고방팔진 화진(卷之五十四 書集 古方八陣 和陣)
구성약재 박하(薄荷): 7.5 g. 붕사(硼砂): 7.5 g. 빙편(氷片): 1.125 g. 청대(靑黛): 7.5 g. 우황(牛黃): 1.125 g.
조제용법 ; 곱게 가루 낸다. 먼저 꿀물로 혀를 씻고, 그 후 생강즙으로 혀를 문지르고 약말을 꿀물에 타서 혀뿌리 상에 약간 비빈다(右爲細末. 先以蜜水洗舌, 後以薑汁擦舌, 將藥末蜜水調稀擦舌本上).
주치병증 풍담폐규(風痰閉竅) 풍담(風痰)으로 몸의 규(竅, 구멍)를 막은 병증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심탕(瀉心湯) (0) | 2016.01.07 |
---|---|
내고청심산(內固淸心散) (0) | 2016.01.07 |
청심환(淸心丸) (0) | 2016.01.07 |
양혈음(凉血飮) (0) | 2016.01.07 |
심옹(心癰) (0) | 2016.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