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내고청심산(內固淸心散)

한들 약초방 2016. 1. 7. 10:57

 내고청심산(內固淸心散)

 

治心癰及癰疽惡瘡煩躁以此解毒神效辰砂赤茯人參白豆雄黃菉豆朴硝甘草角各一錢龍腦麝香各一字右爲末每一錢蜜水調下《入門》

 

심옹과 옹저, 악창으로 답답해 날치는 것을 치료하는데 독을 풀어서 낫게 한다.

주사, 벌건솔풍령(적복령), 인삼, 백두구, 석웅황(웅황), 녹두, 박초, 감초, 주염열매(조각) 각각 4g, 용뇌, 사향 각각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 꿀물에 먹는다[입문].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외과용약부(外科用藥賦) - 심옹(心癰)

 

구성약재

감초(甘草):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녹두(綠豆):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뇌사(腦麝):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박초(朴硝):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백두구(白豆蔲):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복령(茯苓):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웅황(雄黃):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인삼(人蔘):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조각(皂角):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진사(辰砂):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조제용법 ; 가루내어 1돈씩 밀탕으로 복용한다(爲末 每一錢 蜜湯調服)

 

주치병증

번조(煩燥)

가슴에서 열이 나 답답하며 안절부절 못하는 병증. [소문(素問)] <지진요대론(至眞要大論)>에 나옴. 번(煩)은 가슴에서 열이 나고 답답한 것이며 조(躁)는 참을성 없이 서두르고 안절부절 못하며 움직이는 것이다. 번(煩)과 조(躁)는 늘 붙여서 쓰는데 번조와 조변은 구별이 된다. [상한명리론(傷寒明理論)] 제2권에 "이른바 번조(煩躁)는 먼저 번(煩)하다가 점차 조(躁)에 이르는 것이다.(所謂煩躁者, 謂先煩漸至躁也.)"라고 하였다.

 

악창(惡瘡)

(1) 창양(瘡瘍)으로 인한 농혈(膿血)이 부패하여 오래되어도 낫지 않는 병증. 구악창(久惡瘡), 악독창(惡毒瘡), 완창(頑瘡)이라고도 함. [유연자귀유방(劉涓子鬼遺方)]의 제5권에 두창(頭瘡), 악창(惡瘡), 골저(骨疽) 등에 쇠똥을 태워 그 연기를 쐬는 방법에 관한 기재가 있는데, 악창을 골저와 같이 묶어 다스리는 것으로 보아 잘 낫지 않는 온갖 외양을 일컫는다. [소아위생총미론방(小兒衛生總微論方)]에서는 "소아(小兒)가 전신의 접히는 부위에 악창(惡瘡)이 생기는 것은, 장부(臟腑)에 열(熱)이 있어 외부로 발(發)하는데 외부에서는 풍습(風濕)이 침범하니, 내사(內邪)와 외사(外邪)가 함께 뭉쳐서 기혈(氣血)과 서로 얽혀 그 경락(經絡)의 허(虛)한 곳을 따라가다 정체(停滯)되어 결취(結聚)되는 까닭에 생기니, 혹 크거나 혹은 작고, 혹 가렵거나 혹은 아프고, 혹 궤란(潰爛)되거나 혹은 창(瘡)이 생기고, 혹 농(膿)이 나오거나 혹은 혈(血)이 나오고, 혹 부패(腐敗)되기도 하며 독기(毒氣)와 겸한 것은 오래도록 낫지 않으니 모두 악창(惡瘡)에 속한다.(小兒有緣身生諸惡瘡者, 由臟腑有熱, 衝發於外, 外被風濕所乾, 內外相乘, 搏於氣血, 隨其經絡虛處, 停滯留結而生, 或大或小, 或痒或痛, 破爛成瘡, 或膿或血, 或腐或敗, 挾毒所作者, 久而不差, 皆曰惡瘡.)"라고 하였다. (2) 고름이 많이 들어 있고 심한 증세가 나타나는 온갖 종기.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제35권에서 "여러 가지 창(瘡)이 몸에 생기는데, ……창이 가렵고 아프며, 후끈거리고, 부으면서 창에 고름이 많고, 몸에 장열(壯熱)이 나면 악창이라고 한다.(諸瘡生身體, …… 瘡癢痛焮腫而瘡多汁, 身體壯熱, 謂之惡瘡也.)"라고 하였다. (3) 악성 혹[腫瘤]을 말함. 근래에 나쁜 혹 덩어리를 악창이라고도 한다. (4) 나력(瘰癧)을 말함. 곽박파(郭璞把)의 [산해경(山海經)]에서는 역(癧; 연주창)을 악창이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화농, 곪음

 

===================================================================================

출처 ; 의종금감(醫宗金鑑)(1742년)

편명 ;

 

구성약재

감초(甘草): 7.5g.

녹두분(綠豆粉): 75g.

백두구(白豆蔲): 7.5g.

복령(茯苓): 7.5g.

빙편(氷片): 3.75g.

웅황(雄黃): 7.5g.

원명분(元明粉): 7.5g.

유향(乳香): 7.5g.

인삼(人蔘): 7.5g.

진사(辰砂): 7.5g.

 

조제용법 ; 약들을 가루내어 사용한다.

 

주치병증

대구(對口)

뒷통수의 머리카락이 난 경계 부위 한가운데에 생기는 유두저(有頭疽).

양방병증 ; 뇌저(腦疽)

 

번조(煩躁)

가슴속이 달아오르면서 답답하고 편치 않아 손발을 버둥거리는 증. 심화(心火)가 지나치게 왕성하여 음혈(陰血)이 모자라 폐(肺)가 달궈져 폐와 신(腎)이 합하여 발생함. 외감(外感)과 내상(內傷)의 여러 질병에서 흔히 볼 수 있음. 한(寒)에 속하는 증과 열(熱)에 속하는 증이 있음. 답답해하며 손발을 버둥거리지 않으면 열증이고, 손발을 버둥거리고 답답해하지 않으면 한증임. 땀이 나지 않고 설사하지 않았는데 번조 증상이 있으면 실증(實證)이고, 땀이 나고 설사한 뒤에 번조하면 허증(虛證)에 속함. 대변불통, 심신불안 등이 따르기도 함.

양방병증 ; 가슴앓이

 

열심통(熱心痛)

심통(心痛)의 하나. 더위나 성질이 더운약을 늘 먹어서 열(熱)이 몰려 생긴 심통. 명치 부위(심하(心下))가 불로 지지는 것처럼 몹시 아프고, 더운 것을 싫어하며 찬 것을 좋아하고, 통증이 때로 멎었다 발작했다 한다. 때로 얼굴과 눈이 벌겋거나 누르며 열이 나면서 번조증(煩燥症)이 나며 손바닥이 달아오르고 변비 증상이 겸해서 나타난다. [의학입문(醫學入門)] <집례운기장부진맥침구(集例運氣臟腑診脈鍼灸)>에서 ‘삼미천련산(三味川練散)이 열심통(熱心痛)을 다스린다.(三味川練散, 治熱心痛)’라고 하였다.

이명 ; 열궐심통(熱厥心痛), 화심통(火心痛)

양방병증 ; 상복부불쾌감; 기타 급성 위염; 급성 췌장염(이자염)

 

옹저발배(癰疽發背)

옹저(癰疽)가 등에 생긴 것.

양방병증 ; 농양

 

정창(疔瘡)

(1) 창양(瘡瘍)의 총칭 (2) 창양(瘡瘍)의 하나. 정창(丁瘡), 정종(丁腫), 정종(疔腫), 정독(疔毒), 자창(疵瘡)이라고도 한다. [외과정의(外科精義)] 상권에서 "무릇 정창(疔瘡)이라고 하는 것은 그 부스럼의 형태가 마치 못머리처럼 생겼기 때문이다.(夫疔瘡者, 以其瘡形如丁蓋之狀是也.)"라고 하였다.

이명 ; 정(丁), 정창(丁瘡), 정종(丁腫), 정종(疔腫), 정독(疔毒), 자창(疵瘡)

양방병증 ; 피부성 고름집(농양), 종기 및 큰 종기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옹(肝癰)   (0) 2016.01.07
사심탕(瀉心湯)   (0) 2016.01.07
청심산(淸心散)   (0) 2016.01.07
청심환(淸心丸)   (0) 2016.01.07
양혈음(凉血飮)   (0) 2016.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