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금산(勝金散) ♣
◈治産難及橫逆産鹽栥一兩以靑布嚸了燒存性入麝香一錢右末秤錘燒紅柒酒調下一錢《良方》
◈난산과 횡산, 역산을 치료한다. 염두시[ ] 40g을 쪽물 들인 천에 싸서 약성이 남게 태운 다음 사향 4g을 넣고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저울추를 달구어 담근 술에 타 먹는다[양방].
================================================================================== 출처 ; 경악전서(景岳全書)(1610년) 편명 ; 권지오십팔 주집 고방팔진 열진(卷之五十八 宙集 古方八陣 熱陣)
구성약재 계지(桂枝): 18.75 g. 당귀(當歸): 18.75 g. 오령지(五靈脂): 18.75 g. 현호색(玄胡索): 18.75 g. 볶는다.
조제용법 ; 가루 내어 연밀(煉蜜)로 오동씨 크기의 환을 만들어 식전에 20환씩 진피 달인 물로 복용한다(右爲末, 煉蜜丸, 桐子大. 每服二十丸, 食前陳皮湯送下).
주치병증 졸심통(卒心痛) 갑자기 발생하는 심통(心痛). 장부(臟腑)가 허약하여 냉(冷), 열(熱), 풍사(風邪)가 수소음경(手少陰經)을 침범함으로써 발생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제43권에서 "졸심통(卒心痛)은 장부(臟腑)가 허약하여 풍사(風邪)와 냉열(冷熱)한 기(氣)가 수소음경락(手少陰經絡)을 침입함으로써 발생한다. 정기(正氣)는 부족하고 사기(邪氣)는 승(勝)하여 성(盛)하니 사기와 정기가 서로 다투다가 위로 심장을 치받음으로써 가슴이 오싹하고 아파 숨도 제대로 쉬지 못하므로 졸심통이라 한다.(夫卒心痛者, 由臟腑虛弱, 風邪冷熱之氣客於手少陰之絡, 正氣不足, 邪氣勝盛, 邪正相擊, 上沖於心, 心如寒狀, 痛不得息, 故云卒心痛也.)"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흉통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십사(券第十四) 보산(保産)
구성약재 백질려(白蒺藜):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가시를 제거한다. 산장(酸漿):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오령지(五靈脂):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생 것을 사용한다. 왕불류행(王不留行):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충위자(茺蔚子):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조제용법 ; 동일한 양을 가루내어 매번 11.25g을 물과 백화유기노자(白花劉寄奴子) 1줌과 함께 달여 따뜻하게 복용한다.
주치병증 난산(難産) 임신부가 출산에 임박하여 며칠이 되어도 포태(胞胎)가 나오지 않아 고통이 심한 것.
자사복중(子死腹中) 자궁 안에서 태아가 죽는 것. 넘어지거나 삐어 기혈(氣血)이 역란(逆亂)하거나, 산모가 열병을 앓아 열독(熱毒)이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에 숨어 있거나, 또는 독약을 잘못 먹어 약독이 자궁을 상했거나, 모체가 본래 허약하여 충맥, 임맥의 기혈이 허약하거나, 태아의 탯줄이 목을 감아서 숨이 막혀 죽게 되는 등의 원인으로 태아가 임신부의 뱃속에서 죽는 것이다. 사태(死胎)를 속히 빼내야 한다. 이명 ; 태사복중(胎死腹中), 사태(死胎) 양방병증 ; 자궁내 태아사망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각산(龜殼散) (0) | 2016.02.01 |
---|---|
벽력단(霹靂丹) (0) | 2016.02.01 |
최생산(催生散) (0) | 2016.02.01 |
흑룡단(黑龍丹) (0) | 2016.02.01 |
흑신산(黑神散) (0) | 2016.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