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환(利驚丸)♣
◈治急驚身熱面赤口中氣熱大小便黃赤宜下用此黑丑頭末五錢天竺黃靑黛輕粉各一錢右爲末蜜丸豌豆大一歲兒用一丸薄荷湯化下《錢乙》
◈급경풍으로 몸에 열이 나고 열굴이 붉으며 입김이 덥고 대소변이 누르불그스름할 때에는 이 약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나팔꽃검은씨(흑축, 맏물가루) 20g, 천축황, 청대, 경분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완두콩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1살 난 어린이에게는 한번에 1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전을].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외집권3(外集卷三),부인소아외과용약부(婦人小兒外科用藥賦),소아 경풍(小兒 驚風)
내용 ; 몸에서 열이 나고 얼굴이 붉고 입안에서 열기(熱氣)가 나오며 대소변의 색이 황색이거나 붉은색인 급경풍(急驚風)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경분(輕粉): 3.75 g. 구인분(蚯蚓糞): 11.25 g. 금박(金箔): 30 조각(片). 남성(南星): 3.75 g. 반하(半夏): 3.75 g. 백강잠(白殭蠶): 7 매(枚). 백부자(白附子): 9.375 g. 사향(麝香): 3 g. 산사(山査): 9.375 g. 선퇴(蟬退): 7 매(枚). 웅황(雄黃): 9.375 g. 전갈(全蝎): 7 매(枚). 주사(朱砂): 11.25 g. 천마(天麻): 11.25 g. 천축황(天竺黃): 5.625 g. 청대(靑黛): 11.25 g. 파두상(巴豆霜): 1.875 g. 활석(滑石): 5.625 g. 우황(牛黃): 3.75 g.
조제용법 ; 분말을 내어 밀가루 풀로 나복자 크기의 환을 만들어 금박 주사 웅황 청대로 싸서 1-3세는 3환 3-7세는 7환 10-13세는 10환을 복용하는데 경풍에는 박하탕으로 담다에는 활석으로 싸고 식질에는 웅황으로 싸서 나머지 증에는 백수로 복용한다(爲末 麪糊丸蘿蔔子大 分作五處 用金箔朱砂滑石靑黛雄黃 各爲依 每一 歲至三歲 服五丸 五歲至九歲 服七丸 十歲至十三歲 服十丸 諸驚風 薄荷煎湯 下 痰多 用滑石爲依的 食疾 用雄黃爲依的 餘證 白水 下)
주치병증 급경풍(急驚風) 급경풍(急驚風) 내열(內熱)이 치성한 데에 풍사(風邪)를 외감해 심(心)이 열을 받아 경(驚)이 쌓이고 간이 풍을 생성하여 휵닉(搐搦)을 일으킴. 즉 간풍과 심화로 두 장기가 서로 다투어 기혈이 어지럽혀져 담연(痰涎)이 옹성하고 백맥(百脈)이 엉겨 관규(關竅)가 통하지 못하여 풍기가 나갈 데가 없어서 발생함. 원인에 따라 외감경풍(外感驚風), 담열경풍(痰熱驚風), 경공경풍(驚恐驚風)으로 나눔. 장열연조(壯熱涎潮), 찬시(竄視), 각궁반장(角弓反張), 축닉전동(搐搦顚動), 아관긴급(牙關緊急) 등이 따름. 또한 입, 눈, 눈썹, 뺨이 당기고, 입안에서 더운 김이 나고, 눈등과 입술이 붉어지고, 대소변이 황적색을 띠고, 맥이 부(浮), 삽(澁), 홍(洪), (緊)함. 중추신경(中樞神經)의 급성감염증(急性感染症). 양방병증 ; 열성 경련; 경련성장애; 신경계통의 결핵; 뇌염, 척수염 및 뇌척수염; 달리 분류되지 않은 세균성 수막염; 기타 및 상세불명의 원인에 의한 수막염
담화(痰火) 담(痰)으로 인해 생긴 화(火), 또는 담을 낀 화.
식적(息積) 옆구리 아래가 더부룩하고 기(氣)가 역행하여 숨쉬기가 곤란하면서 덩어리가 있는 병증. [소문(素問)] <기병론(奇病論)>에는 "협하(脇下)가 가득하고 기가 거스르는 병증이 2-3년 동안 사라지지 않는 것은 무슨 병입니까? 기백(岐伯)이 말하길 병명은 식적(息積)이니 이것은 먹는 데는 지장이 없다.(病脇下滿, 氣逆, 二三歲不已, 是爲何病? 岐伯曰: 病名曰息積, 此不妨于食)"라고 하였다. [증치준승(證治準繩)] <적취(積聚)>에 "식적은 기식(氣息)이 옆구리 아래에 정체되어 장부(臟腑)와 영위(營衛)에 있지 못하고 점차 형태를 이루되 그 기(氣)가 위(胃)를 침범하지 않으므로 식사를 방해하지는 않는다.(息積, 乃氣息痞滯於脇下, 不在藏府榮衛之間, 積久形成, 氣不乾胃, 故不妨食.)"고 하였다. [의학계제(醫學階梯)]에는 "식적은 오른쪽 옆구리 아래가 그득한 것으로 숨쉬기는 곤란하지만 아직 형태가 드러난 것은 아니다.(息積右脇下滿, 息難, 未見形也.)"라고 하였다.
이질(痢疾) 곱똥질. [내경(內經)]에서는 장벽(腸澼)이라 하였고, [상한론(傷寒論)]에서는 하리(下利), 열리(熱利)라고 하였으며,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에서는 하리(下痢)라 하였고,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에서는 이병(痢病)이라 하였으며, [천금요방(千金要方)]에서는 체하(滯下)라 하였고, 후세에는 대부분 이질(痢疾)이라 하였다. 이 병은 배가 아프고 대변을 자주 보되 양이 적고, 속이 땅기며 뒤가 무겁고, 끈적끈적하거나 심지어 피고름 같은 대변을 보는 것이 특징이다. 대개 육음(六淫) 및 역독(疫毒)을 감수하거나 칠정(七情)이나 과로나 음식(飮食)을 삼가지 않아 장(腸)에 쌓이고 얹혀 전도기능(傳導機能)에 이상이 생김으로써 발생한다. 허(虛)와 실(實)을 분별해야 한다. 실증(實證)은 청열화습(淸熱化濕), 양혈해독(凉血解毒), 소적도체(消積導涕) 등의 치료법을 쓴다. 허증(虛證)은 온양고삽(溫陽固澁) 등의 치료법을 쓴다. 사(邪)가 성(盛)하고 정기(正氣)가 허한 경우는 정기(正氣)를 부축하면서 사를 없애야 한다. 또한 혈(血)을 돌리면서 기(氣)를 고르게 하는 치법을 겸할 수도 있으니 옛 설(說) 중에 혈을 돌리면 이질이 저절로 낫고, 기를 고르게 하면 뒤가 무거운 증세는 저절로 없어진다는 말이 있다. 이질은 병인(病因)에 따라 풍리(風痢), 사리(痧痢), 서리(暑痢), 습열리(濕熱痢), 한리(寒痢), 열리(熱痢), 역리(疫痢), 독리(毒痢), 기리(氣痢)로 나뉘고, 대변의 성질과 모양에 따라 적리(赤痢), 백리(白痢), 혈리(血痢), 적백리(赤白痢), 농혈리(膿血痢), 오색리(五色痢) 등으로 나뉘며, 병정(病情)의 경중(輕重)과 병정(病程)에 따라서는 금구리(噤口痢), 휴식리(休息痢), 기항리(奇恒痢), 구리(久痢), 허리(虛痢) 등이 있다. 이 병은 세균성 이질, 아메바성 이질, 궤양성 결장염(結腸炎), 과민성 결장염(結腸炎), 음식물 중독 및 장흡수기능장애성질병(腸吸收機能障碍性疾病) 등에서 늘 나타난다. 이명 ; 장벽(腸澼), 하리(下利), 열리(熱利), 이병(痢病), 체하(滯下) 양방병증 ; 이질
창(瘡) 온갖 부스럼. (1) [외과계현(外科啓玄)] 제1권에서 "창양(瘡瘍)은 창(瘡)의 포괄적인 이름이다.(夫瘡瘍者, 乃瘡之總名也.)"라고 하였다. 창양(瘡瘍) (2) 살이나 살갗을 다쳐 입은 외상(外傷)을 말함. [외과계현] 제1권에서 "창은 손상된 것이다. 살결이 썩어 떨어지면서 아프거나 가렵고, 아리면서 다친 데가 문드러져 일어나므로 창이라고 한다.(瘡者傷也. 肌肉腐壞痛癢, 苦楚傷爛而成, 故名瘡也.)"라고 하였다. 금창(金瘡; 쇠붙이에 다친 상처), 도창(刀瘡; 칼에 베인 상처) 등이 그 예이다. (3) 온갖 옹저(癰疽)와 피부병을 통틀어 이른 말. [외과계현] 제1권에서 "창이라는 한 글자에 들어 있는 뜻은 아주 넓다. 비록 옹(癰), 저(疽), 정(疔), 절(癤), 나력(瘰癧), 개(疥), 선(癬), 감(疳), 독(毒), 두(痘), 진(疹) 등으로 나누기는 하지만, 그 이름은 대개 같은 것에 불과한 셈이다.(瘡之一字, 所包括者廣矣. 雖有癰, 疽, 疔, 癤, 瘰癧, 疥, 癬, 疳, 毒, 痘, 疹等分, 其名一止大槪而言也.)"라고 하였다
============================================================================== 출처 ; 의학정전(醫學正傳)(1515년) 편명 ; 소아과 급만경풍(小兒科 急慢驚風)
내용 ; 몸에서 열이 나고 얼굴이 붉고 입안에서 열기(熱氣)가 나오며 대소변의 색이 황색이거나 붉은색인 급경풍(急驚風)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경분(輕粉): 3.75 g. 천축황(天竺黃): 3.75 g. 청대(靑黛): 3.75 g. 흑축(黑丑): 18.75 g. 맏물가루로 만든다.
조제용법 ; 위의 약을 곱게 가루내어 달군 꿀로 오동나무 씨대 크기의 환을 만들어 한살 소아는 한알, 세살 소아는 두알, 다섯살 소아는 3알을 따뜻한 박하물에 식후에 먹는다.
주치병증 급경풍(急驚風) 급경풍(急驚風) 내열(內熱)이 치성한 데에 풍사(風邪)를 외감해 심(心)이 열을 받아 경(驚)이 쌓이고 간이 풍을 생성하여 휵닉(搐搦)을 일으킴. 즉 간풍과 심화로 두 장기가 서로 다투어 기혈이 어지럽혀져 담연(痰涎)이 옹성하고 백맥(百脈)이 엉겨 관규(關竅)가 통하지 못하여 풍기가 나갈 데가 없어서 발생함. 원인에 따라 외감경풍(外感驚風), 담열경풍(痰熱驚風), 경공경풍(驚恐驚風)으로 나눔. 장열연조(壯熱涎潮), 찬시(竄視), 각궁반장(角弓反張), 축닉전동(搐搦顚動), 아관긴급(牙關緊急) 등이 따름. 또한 입, 눈, 눈썹, 뺨이 당기고, 입안에서 더운 김이 나고, 눈등과 입술이 붉어지고, 대소변이 황적색을 띠고, 맥이 부(浮), 삽(澁), 홍(洪), (緊)함. 중추신경(中樞神經)의 급성감염증(急性感染症). 양방병증 ; 열성 경련; 경련성장애; 신경계통의 결핵; 뇌염, 척수염 및 뇌척수염; 달리 분류되지 않은 세균성 수막염; 기타 및 상세불명의 원인에 의한 수막염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경환(凉驚丸) (0) | 2016.02.09 |
---|---|
온경환(溫驚丸) (0) | 2016.02.09 |
급경풍(急驚風) (0) | 2016.02.09 |
태을산(太乙散) (0) | 2016.02.09 |
진사고(辰砂膏) (0) | 2016.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