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심고(寧心膏) ♣
◈治小兒不定恍惚不寧恐畏多哭睡中驚櫃朱砂二錢人參白朮白茯巔茯神山藥羌活甘草各一錢龍腦麝香各一字右爲末蜜丸咯實大以薄荷湯化下一丸《丹心》
◈어린이가 정신이 어리둥절하며 안정되지 못하고 무서워하면서 잘 울며 잘 때에 놀라는 것을 치료한다. 주사 8g,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백복신, 마(산약), 강호리(강활), 감초 각각 4g, 용뇌, 사향 각각 1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단심].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단심(丹心)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일(卷十一) 소아(小兒)
내용 ; 어린이가 안정되질 못하고 정신이 어질어질하여 편치 않으며, 무서워하면서 잘 울고 잘 때 가위눌리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3.75 g. 강활(羌活): 3.75 g. 백복령(白茯苓): 3.75 g. 백출(白朮): 3.75 g. 복신(茯神): 3.75 g. 사향(麝香); 1 g. 산약(山藥): 3.75 g. 용뇌(龍腦): 1 g. 인삼(人蔘): 3.75 g. 주사(朱砂): 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꽃씨(芡實)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
주치병증 황홀(恍惚) 정신이 흐리고 사리 판단이 잘 안되는 상태. 칠정내상(七情內傷), 외사(外邪)의 침입, 발한(發汗) 과다로 심기(心氣)를 손상하여 정신을 지키지 못해 발생함.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경원(大驚元) (0) | 2016.02.09 |
---|---|
방풍온담탕(防風溫膽湯) (0) | 2016.02.09 |
금박진심환(金箔鎭心丸) (0) | 2016.02.09 |
절풍환(截風丸) (0) | 2016.02.09 |
포룡환(抱龍丸) (0) | 2016.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