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성비산(醒脾散)

한들 약초방 2016. 2. 9. 14:51

   

 성비산(醒脾散)

 

 

治脾困昏沈吐瀉不止漸成慢驚人參白朮白茯白附子白蠶天麻木香甘草各五分全蝎二分半右末每二錢薑二棗一水煎漸漸服不可頓服《綱目》

 

() 약해져서 정신이 혼미하고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아 점차 만경풍이 되려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노랑돌쩌귀(백부자), 백강잠, 천마, 목향, 감초 각각 2g, 전갈 1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8g 생강 2, 대추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조금씩 자주 먹인다. 단번에 먹여서는 된다[강목].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십이(卷第十二) 비위(脾胃)

 

내용 ; 비(脾)가 결핍되어 혼침(昏沈),토사(吐瀉)하는 것이 그치지 않아 점점 만경(慢驚)이 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건강(乾薑):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곽향(藿香):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백출(白朮):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인삼(人蔘):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두구(豆蔻):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조제용법 ; 가루낸 것을 매번 5.625g을 강탕으로 삼킨다.

 

주치병증

비위허손(脾胃虛損)

비위(脾胃)가 허손(虛損)된 것.

 

=============================================================================

출처 ; 수세보원(壽世保元)(17세기초)

편명 ; 신집팔권(辛集八卷)

 

내용 ; 비(脾)가 결핍되어 혼침(昏沈),토사(吐瀉)하는 것이 그치지 않아 점점 만경(慢驚)이 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목향(木香):

백복령(白茯苓): 껍질을 제거한다.

백부자(白附子):

백출(白朮): 노(蘆)를 제거한다.

인삼(人蔘):

전갈(全蝎):

천마(天麻):

강잠(僵蠶):

 

조제용법 ;  썰어서 생강 3조각, 대추(棗) 1개와 함께 물에 끓여서 먹는다.

 

주치병증

기약(氣弱)

기운이나 원기가 약한 것.

 

불식(不食)

식욕이 없고 심하면 전혀 마시거나 먹으려 하지 않는 병증.

양방병증 ; 식욕결핍반응

 

소아토사(小兒吐瀉)

어린아이가 토하고 설사하는 병증.

양방병증 ; 소아 구토 설사

 

신혼(神昏)

정신이 맑지 못하거나 전혀 의식이 없는 병증.

양방병증 ; 혼미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선산(八仙散)   (0) 2016.02.09
양유방(釀乳方)   (0) 2016.02.09
가미출부탕(加味朮附湯)   (0) 2016.02.09
온백환(溫白丸)   (0) 2016.02.09
황기탕(黃 湯)  (0) 2016.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