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비익진탕(補脾益眞湯) ♣
◈治慢脾風丁香木香訶子皮陳皮厚朴草果肉豆埼白茯巔人參白朮桂枝半夏附子礐甘草灸各二分全蝎炒一枚右犫入薑二棗一水煎灌服服訖令涑心下以助藥力《綱目》
◈만비풍을 치료한다. 정향, 목향, 가자피(訶子皮), 귤껍질(陳皮), 후박, 초과, 육두구, 흰솔풍령(백복령), 인삼, 흰삽주(백출), 계지, 끼무릇(반하), 부자(싸서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0.8g, 전갈(닦은 것) 1개.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2쪽과 대추 1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떠먹인다. 다 먹인 다음 명치 아래를 주물러서 약 기운을 도와준다[강목].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강목(綱目)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십일(卷十一) 소아(小兒)
내용 ; 만성 비풍(脾風)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 가자피(訶子皮): 0.75 g. 감초(甘草): 0.75 g. 볶는다. 계지(桂枝): 0.75 g. 목향(木香): 0.75 g. 반하(半夏): 0.75 g. 백복령(白茯苓): 0.75 g. 백출(白朮): 0.75 g. 부자(附子): 0.75 g. 굽는다. 육두구(肉豆蔲): 0.75 g. 인삼(人蔘): 0.75 g. 전갈(全蝎): 1 개. 볶는다. 정향(丁香): 0.75 g. 진피(陳皮): 0.75 g. 초과(草果): 0.75 g. 후박(厚朴): 0.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생강 2쪽과 대추 1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떠먹인다. 다 먹인 다음 명치 아래를 주물러서 약 기운을 도와준다.
주치병증 만비풍(慢脾風) 만경풍(慢驚風)의 하나. 대부분 오랜 토설(吐泄)로 인해 비기(脾氣)가 허약(虛弱)하여 간(肝)이 유양(濡養)을 받지 못하여 발생하는 병증. 이명 ; 비풍(脾風), 허풍(虛風) 양방병증 ; 뇌의 기타 장애; 수분, 전해질 및 산-염기균형의 기타 장애 |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조경풍(天弔驚風) (0) | 2016.02.10 |
---|---|
만비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慢脾風不治證] (0) | 2016.02.10 |
갈부산(蝎附散) (0) | 2016.02.10 |
생부사군자탕(生附四君子湯) (0) | 2016.02.10 |
흑부탕(黑附湯) (0) | 2016.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