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2

목향환(木香丸)

한들 약초방 2016. 2. 11. 09:48

   

 목향환(木香丸)

 

 

治冷疳木香靑黛檳肉豆各二錢半麝香一錢半千金子去皮炒一兩蝦徳望乾燒存性右爲末蜜丸菉豆大每三五丸至一二十丸薄荷湯下  

냉감을 치료한다.

목향, 청대, 빈랑, 육두구 각각 10g, 사향 6g, 속수자(껍질을 벗기고 닦은 ) 40g, 두꺼비(하마) 1마리(햇볕에 말려 약성이 남게 태운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5알에서 10-20알까지 박하 달인 물로 먹인다.

 

一女子得疳疾百藥無效與此藥不數服而愈後用無不獲效《錢乙》

어떤 여자가 감병에 걸려서 온갖 약을 써도 효과가 없었는데 약을 주었더니 먹지 않아 나았다. 그후에 약을 써서 효과를 보지 않은 때가 없었다[전을].

 

=============================================================================

출처 ; 방약합편(方藥合編)-전통의학연구소방약합편해설 소아약증직결(小兒藥證直訣)

편명 ; 증보방(增補方)

 

구성약재

목향(木香): 9.375 g.

빈랑(檳榔): 9.375 g.

사향(麝香): 3.75 g.

섬여(蟾蜍): 3 개. 태워서 성질을 보존한다.

속수자(續隨子): 9.375 g. 기름을 제거한다.

육두구(肉豆蔲): 9.375 g.

청피(靑皮): 9.375 g.

하마(蝦蟆): 1 개. 크고 튼튼한 것.

 

조제용법 ; 가루내어 꿀로 녹두대의 환을 만들어 3-5환 또는 3-20환씩 박하탕으로 복용한다

 

주치병증

감수(疳瘦)

감(疳)으로 몸이 바짝 말라 뼈대만 앙상한 병증. [소아약증직결(小兒藥證直訣)]에 나옴. 대부분 젖 먹은 것이 쌓여서 열로 변하여 비위가 손상되어 운화작용을 못함으로써 음식물의 정미(精微)를 기부(肌膚)에 충분히 영양, 공급하지 못하여 생긴다. 면색위황(面色萎黃), 피부건조(皮膚乾燥), 복요여주(腹凹如舟)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양방병증 ; 영양장애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환(如聖丸)   (0) 2016.02.11
사군자환(使君子丸)   (0) 2016.02.11
지성환(至聖丸)   (0) 2016.02.11
용담원(龍膽元)   (0) 2016.02.11
오복화독단(五福化毒丹)   (0) 2016.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