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담(龍膽) ♣용담(龍膽) ♣ ◈性大寒味苦無毒除胃中伏熱時氣溫熱熱泄下痢益肝膽氣止驚瓶除骨熱去腸中小盤明目 ◈성질은 몹시 차고[大寒]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위(胃) 속에 있는 열과 돌림온병[時氣溫]과 열병, 열설(熱泄), 이질 등을 치료한다. 간과 담의 기를 돕고 놀라서 가슴이 두근거..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3.17
원지엽(遠志葉) ♣원지엽(遠志葉) ♣ ◈名小草主益精止虛損夢泄《本草》 ◈소초(小草)라고도 하는데 정(精)을 돕고 허손으로 몽설(夢泄)이 있는 것을 멎게 한다[본초].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3.17
원지(遠志) ♣원지(遠志) ♣ ◈性溫味苦無毒益智慧令耳目聰明不忘强志定心氣止驚悸療健忘安魂魄令人不迷惑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지혜를 돕고 귀와 눈을 밝게 하며 건망증을 없애고 의지를 강하게 한다. 또는 심기(心氣)를 진정시키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驚悸]을 멎..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3.17
택사(澤瀉) ♣택사(澤瀉) ♣ ◈性寒味甘稜無毒逐膀胱停水治五淋利膀胱熱宣通水道通小腸止遺瀝 ◈성질은 차며[寒] 맛이 달고[甘] 짜며[鹹] 독이 없다. 방광에 몰린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5림을 치료하고 방광의 열을 없애며 오줌길과 소장을 잘 통하게 하며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멎게 한..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3.17
서여(薯 , 마) ♣서여(薯 , 마) ♣ ◈性溫(一云平)味甘無毒補虛勞羸瘦充五藏益氣力長肌肉强筋骨開達心孔安神長志 ◈성질은 따뜻하고[溫](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허로로 여윈 것을 보하며 5장을 충실하게 하고 기력을 도와주며 살찌게 하고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한다. 심규[..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3.17
목향(木香) ♣목향(木香) ♣ ◈性溫味辛無毒治心腹一切氣及九種心痛積年冷氣腹痛竎癖琋塊止泄瀉囍亂痢疾消毒殺鬼抗瘟疫行藥之精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가슴과 배가 온갖 기로 아픈 것, 9가지 심통(心痛), 여러 해 된 냉기로 불러 오르면서 아픈 것, 현벽( 癖), ..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3.17
차전엽/차전근(車前葉及根, 길짱구의 잎과 뿌리) ♣차전엽/차전근(車前葉及根, 길짱구의 잎과 뿌리) ♣ 主吐婼尿血血淋取汁服之《本草》 주로 코피, 피오줌[尿血], 혈림(血淋)에 쓰는데 즙을 내어 먹는다[본초].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3.17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 ◈性寒(一云平)味甘稜無毒主氣弐通五淋利水道通小便淋澁明目能去肝中風熱毒風衝眼赤痛障次 ◈성질은 차며[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고[甘] 짜며[ ] 독이 없다. 주로 기륭(氣 )㈜에 쓰며 5림(淋)을 통하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눈을 밝..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3.17
승마(升麻) ♣ 승마(升麻) ♣ ◈性平(一云微寒)味甘苦無毒主解百毒殺百精老物抗瘟疫瀆氣療蠱毒治風腫諸毒喉痛口瘡《本草》 ◈성질은 평(平)하고(약간 차다고도[微寒] 한다) 맛이 달며[甘] 쓰고[苦] 독이 없다. 모든 독을 풀어 주고 온갖 헛것에 들린 것을 없애며 온역(瘟疫)과 장기( 氣)를 물리친..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3.17
강활(羌活, 강호리) ♣ 강활(羌活, 강호리) ♣ ◈性微溫味苦辛無毒主治與獨活大同小異《本草》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쓰며[苦] 맵고[辛] 독이 없다. 주로 치료하는 것이 따두릅과 거의 같다[본초]. ◈羌活乃手足太陽足厥陰少陰表裏引經之藥也撥亂反正之主大無不通小無不入故一身百節痛非此.. ^*^동의보감^*^/동의보감탕액편 2016.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