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금용담탕(千金龍膽湯)♣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편주의학입문외집3권(編註醫學入門外集卷三) 부인소아외과용약부(婦人小兒外科用藥賦) 소아 경풍(小兒 驚風)
구성약재 감초(甘草): 0.188 g. 강랑(蜣螂): 1 개. 길경(桔梗): 0.188 g. 대황(大黃): 0.375 g. 복령(茯苓): 0.188 g. 시호(柴胡): 0.188 g. 용담초(龍膽草): 0.188 g. 적작약(赤芍藥): 0.188 g. 조구등(釣鉤藤): 0.188 g. 황금(黃芩): 0.188 g.
조제용법 ; 가루내어 1돈이나 5푼씩 대추씨 끓인물에 복용(爲末 每一錢 或五分 棗子煎湯 調服)
주치병증 기역(氣逆) 기역상(氣逆上) 장부의 기(氣)가 위로 거슬러 오르는 것.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며, 아랫배가 아프고, 메스껍고, 어지럽고, 이명(耳鳴)이 있고, 손발이 싸늘함. 폐기(肺氣)가 상역하면 천촉(喘促), 해수(咳嗽)가 있음. 위기(胃氣)가 상역하면 구토, 애역(呃逆)이 있음. 간기(肝氣)가 상역하면 두통, 현훈(眩暈), 혼도(昏倒) 등이 있음.
발열(發熱) 신열(身熱) 체온이 평열(平熱)을 넘는 것으로, 많은 질병에서 나타남. 외감(外感)과 내상(內傷)으로 나눔. 외감발열은 육음(六淫) 또는 역려기(疫癘氣)로 일어나고 실증(實證)에 속함. 내상발열은 음식, 칠정내상(七情內傷)으로 음양(陰陽)이 조화되지 않아 기혈(氣血)의 쇠약을 야기하거나, 또는 장부의 병변(病變)과도 유관하며, 대개 허증(虛證)에 속함. 상태, 시간에 따라 장열(壯熱), 작열감(灼熱感), 미열(微熱), 발열오한, 오열(惡熱), 한열왕래(寒熱往來), 조열(潮熱), 일포발열(日哺發熱) 등과 번열(煩熱), 내열(內熱), 두열(頭熱), 오심번열(五心煩熱) 등으로 나눔. 체온이 높지 않고 열상(熱象)이 조금 나타나는 것도 있음.
양방병증 ; 홍조; 열증상; 좁쌀 결핵; 원인 미상의 열;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호흡기 결핵; 세균학적으로나 조직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호흡기 결핵
소아제풍(小兒臍風) 신생아가 근육경련을 일으키는 병증. 탯줄을 너무 짧게 자르거나 단단히 묶지 않아 풍랭수습(風冷水濕)이 침습해 배꼽으로 들어가 심(心), 비(脾)로 흘러들어 일어남. 배가 불어나고 배꼽이 부으며, 몸이 무겁고, 팔다리가 잘 움직여지지 못함. 발작 전에 기운이 없고, 자주 울고, 젖을 빨지 못함. 경련이 나면 아관(牙關)과 입이 벌어지지 않아 잘 울지 못하고 안면 근육의 연축(攣縮)이 일어남. 심하면 전신에 강직성 경련이 일어나 각궁반장(角弓反張)하고, 호흡(呼吸)이 급박(急迫)해 죽음에 이를 수도 있다. 신생아파상풍(新生兒破傷風) 이명 ; 초생구금(初生口噤) 양방병증 ; 소아 파상풍
소아촬구(小兒撮口) 제풍삼증(臍風三證)의 하나. 입술이 오그라들어 물고기 입처럼 오므라드는 것이 주증이다. 모체의 장부(臟腑)에 열이 있어 태아의 심(心)과 비(脾)를 작열한데다가 생후에 풍사(風邪)의 침습을 받아 생긴다. 일반적으로 젖을 빠는 데 장애가 되며 혀가 굳고 입술이 푸르며 얼굴이 적황색이고 입에 담연(痰涎)이 가득하며 호흡이 촉박하고 울음소리가 나오지 않는다. 심하면 배에 핏줄이 나타나고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며 신열(身熱)이 나며 잘 놀라고 손발이 오그라드는 증상이 있다. [유과발휘(幼科發揮)]에 ‘촬구증(撮口證)은 소아가 잘 울고 입을 자주 모은다. 이것은 제복통(臍腹痛)이 있는 것이다.(撮口證兒多啼, 口頻撮者, 此臍腹痛也.)’라고 하였다. 이명 ; 촬풍(撮風), 촬구(撮口), 소아촬구풍(小兒撮口風)
태경(胎驚) 갓난아이의 경풍(驚風)을 말함. 태경(胎驚)이라고도 함. 비정상적인 출산(出産)이나 선천적인 허약, 외사(外邪)에 의한 손상 등으로 발생한다 이명 ; 태경(胎驚) |
'^*^동의보감^*^ > 동의보감 예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씨백출산錢氏白朮散 (0) | 2016.04.14 |
---|---|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 (0) | 2016.04.14 |
창출백호탕(蒼朮白虎湯) (0) | 2016.04.13 |
인삼백호탕(人蔘白虎湯) (0) | 2016.04.13 |
가감황기건중탕(加減黃耆建中湯) (0) | 2016.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