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질(痢疾)
곱똥질. [내경(內經)]에서는 장벽(腸澼)이라 하였고, [상한론(傷寒論)]에서는 하리(下利), 열리(熱利)라고 하였으며,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에서는 하리(下痢)라 하였고,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에서는 이병(痢病)이라 하였으며, [천금요방(千金要方)]에서는 체하(滯下)라 하였고, 후세에는 대부분 이질(痢疾)이라 하였다. 이 병은 배가 아프고 대변을 자주 보되 양이 적고, 속이 땅기며 뒤가 무겁고, 끈적끈적하거나 심지어 피고름 같은 대변을 보는 것이 특징이다. 대개 육음(六淫) 및 역독(疫毒)을 감수하거나 칠정(七情)이나 과로나 음식(飮食)을 삼가지 않아 장(腸)에 쌓이고 얹혀 전도기능(傳導機能)에 이상이 생김으로써 발생한다. 허(虛)와 실(實)을 분별해야 한다. 실증(實證)은 청열화습(淸熱化濕), 양혈해독(凉血解毒), 소적도체(消積導涕) 등의 치료법을 쓴다. 허증(虛證)은 온양고삽(溫陽固澁) 등의 치료법을 쓴다. 사(邪)가 성(盛)하고 정기(正氣)가 허한 경우는 정기(正氣)를 부축하면서 사를 없애야 한다. 또한 혈(血)을 돌리면서 기(氣)를 고르게 하는 치법을 겸할 수도 있으니 옛 설(說) 중에 혈을 돌리면 이질이 저절로 낫고, 기를 고르게 하면 뒤가 무거운 증세는 저절로 없어진다는 말이 있다. 이질은 병인(病因)에 따라 풍리(風痢), 사리(痧痢), 서리(暑痢), 습열리(濕熱痢), 한리(寒痢), 열리(熱痢), 역리(疫痢), 독리(毒痢), 기리(氣痢)로 나뉘고, 대변의 성질과 모양에 따라 적리(赤痢), 백리(白痢), 혈리(血痢), 적백리(赤白痢), 농혈리(膿血痢), 오색리(五色痢) 등으로 나뉘며, 병정(病情)의 경중(輕重)과 병정(病程)에 따라서는 금구리(噤口痢), 휴식리(休息痢), 기항리(奇恒痢), 구리(久痢), 허리(虛痢) 등이 있다. 이 병은 세균성 이질, 아메바성 이질, 궤양성 결장염(結腸炎), 과민성 결장염(結腸炎), 음식물 중독 및 장흡수기능장애성질병(腸吸收機能障碍性疾病) 등에서 늘 나타난다.
이명 ; 장벽(腸澼), 하리(下利), 열리(熱利), 이병(痢病), 체하(滯下)
양방병증 ; 이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