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모탕(白茅湯) ♣
◈治婦人産後諸淋無問膏石冷熱皆治之白茅根五錢瞿麥白茯巔各二錢半葵子人參各一錢二分半蒲黃桃膠滑石各七分甘草五分紫貝二箇禭石首魚頭中骨四箇禭右犫分二貼入薑三片燈心二十莖空心水煎服《入門》
◈몸푼 뒤에 생기는 여러 가지 임병 즉 고림, 석림, 냉림, 열림 등을 다 치료한다.
띠뿌리(모근) 20g, 패랭이꽃(구맥),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10g, 돌아욱씨(규자), 인삼 각각 5g, 부들꽃가루(포황), 복숭아나무진(도교), 곱돌(활석) 각각 2.8g, 감초 2g, 자패(달군 것) 2개, 조기대가리뼈(石首魚頭中骨) 4개(태운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만든다. 1첩씩 생강 3쪽, 골풀속살(등심초) 20오리와 함께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或爲末每二錢木通湯調下
◈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으름덩굴(목통) 달인 물에 타서 먹어도 된다.
========================================================================================
출처 ; 방약합편(方藥合編)-전통의학연구소방약합편해설
편명 ; 증보방(增補方)
구성약재
감초(甘草): 7.5 g.
맥문동(麥門冬): 11.25 g.
모근(茅根): 11.25 g.
반하(半夏): 11.25 g.
백복령(白茯苓): 11.25 g.
백작약(白芍藥): 11.25 g.
오미자(五味子): 3.75 g.
인삼(人蔘): 7.5 g.
조제용법 ; 물에 달여 복용한다(水煎服)
주치병증
토혈(吐血)
구역성(嘔逆聲)이 없이 구강으로 대량 출혈하는 병증
양방병증 ; 토혈; 식도의 천공; 급성 출혈성 위염; 위-식도 열상-출혈 증후군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구맥(瞿麥): 13.125 g.
규자(葵子): 4.313 g.
도교(桃膠): 28.125 g.
반하(半夏): 28.125 g.
백모근(白茅根): 18.75 g.
백복령(白茯苓: 13.125 g.
석수어두중석(石首魚頭中石): 2 개. 굽는다.
인삼(人蔘): 4.313 g.
자패(紫貝): 1 개. 굽는다.
포황(蒲黃): 28.125 g.
활석(滑石): 28.125 g.
조제용법 ; 두 첩으로 나누어 생강(薑) 세조각(片)과 등심 스무 근(燈心卄根)과 같이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혹은 가루로 만들어 매번 두 돈(錢)씩 목통(木通)과 같이 달여 먹는다.
주치병증
산후제림(産後諸淋)
출산 후에 생기는 림증.
오림(五淋)
임증을 다섯 가지로 분류한 것. (1) 석림(石淋), 기림(氣淋), 고림(膏淋), 노림(勞淋), 열림(熱淋) (2) 냉림(冷淋), 열림, 고림, 혈림(血淋), 석림. (3) 혈림, 석림, 기림, 고림, 노림. 습열(濕熱)이 방광에 유주(流注)하거나 중기하함(中氣下陷), 신허(腎虛)로 방광의 기화작용이 장애되어 생김. 배뇨에 심한 통증이 있고, 소변이 잦으나 잘 안 나오고 방울방울 떨어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