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각교환(鹿角膠丸)
◈治房室勞傷小便出血鹿角膠一兩炒作珠沒藥油髮灰各六錢右爲末取白茅根汁打糊和丸梧子大空心鹽湯呑下七十丸《得效》
◈성생활을 지나치게 해서 허로손상[勞傷]이 되어 피오줌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녹각교(볶아서 구슬처럼 되게 만든 것) 40g, 몰약, 기름 묻은 난발(태워 가루낸 것) 각각 2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띠뿌리(모근)즙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빈속에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득효].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득효(得效)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이(卷二) 혈(血)
구성약재
녹각교(鹿角膠): 37.5 g. 구슬상태로 볶는다.
몰약(沒藥): 22.5 g.
유발회(油髮灰): 22.5 g.
조제용법 ;약재들을 가루내어 모근즙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오동나무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알씩 빈속에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주치병증
요혈(尿血)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 방광출혈, 신장출혈 등. 열이 하초(下焦)에 있어서 생김. 대개 신음부족(腎陰不足)과 심간(心肝)의 화왕(火旺)에 의해, 그 열(熱)이 소장(小腸)으로 옮거나, 또는 비신(脾腎)이 함께 손상(損傷)되어, 혈(血)을 통섭(統攝)못해서 일어난다. 음허화왕(陰虛火旺)이면 소변이 붉고, 요부(腰部)가 묵직하고, 이명(耳鳴)이 있고 , 눈이 흐리고, 심번구건(心煩口乾), 설강(舌絳), 맥(脈)은 세(細), 삭(數)을 나타난다. 비신구손(脾腎俱損)로 일어나면 요혈담적(尿血淡赤), 면색위황(面色萎黃), 음식감소(飮食減少), 요산통(腰痠痛), 사지냉(四肢冷), 설질담백(舌質淡白), 맥허연(脈虛軟)을 나타낸다.
양방병증 ; 수혈(溲血), 요혈(溺血)
=================================================================================
출처 ; 동의방제와 처방해설(東醫方劑와 處方解說) 정전(正傳)
편명 ; 쌍보환(雙補丸)
구성약재
녹각교(鹿角膠): 300 g.
녹각상(鹿角霜): 300 g.
두중(杜仲): 75 g.
백복령(白茯苓): 75 g.
백출(白朮): 75 g.
숙지황(熟地黃): 300 g.
우슬(牛膝): 75 g.
인삼(人蔘): 75 g.
토사자(菟絲子): 75 g.
호경골(虎脛骨): 37.5 g.
구판(龜板): 37.5 g.
당귀신(當歸身: 150 g.
조제용법 ; 약들을 가루내어 환으로 만든다.
주치병증
위병(痿病)
사지가 연약무력(軟弱無力)한 것. 특히 하지를 쓰지 못하고, 심하면 기육(肌肉)이 위축되는 병증을 가리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