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씨오색환(錢氏五色丸)
◈治諸癎雄黃熬眞珠嶽硏各一兩鉛三兩水銀二錢半同鉛熬結砂子朱砂水飛五錢右再硏極細麵糊和丸麻子大薄荷湯下三四丸《正傳》
◈여러 가지 간질을 치료한다.
석웅황(웅황, 닦은 것), 진주(따로 간 것) 각각 40g, 흑연 120g, 수은 10g(흑연과 같이 구워서 모래알처럼 엉키게 한다), 주사(수비한 것) 20g.
위의 약들을 다시 아주 보드랍게 갈아서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4알씩 박하를 달인 물로 먹는다[정전].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정전(正傳)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일(卷一) 신(神)
내용 ; 모든 간질(癎疾)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수은(水銀): 9.375 g. 연, 모래하고 함께 섞는다.
웅황(雄黃): 37.5 g. 끓인다.
주사(朱砂): 18.75 g. 물에 거른다.
진주(珍珠): 37.5 g. 따로 간다.
흑연(黑鉛): 112.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다시 아주 보드랍게 갈아서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4알씩 박하를 달인 물로 먹는다.
주치병증
간질(癎疾)
간병(癎病), 풍현(風眩)이라고도 한다. 고대에는 전(癲), 간(癎)의 두 글자가 통용되었다.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제45권에서 "10세 이상은 전(癲)이 되고, 10세 이하는 간(癎)이 된다.(十歲以上爲癲, 十歲以下爲癎)"라고 하였다. [의학강목(醫學綱目)] 제11권에서는 "담(痰)이 횡격막 위로 넘치면 어지러움이 심하여 땅에 쓰러지고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데 이것을 전간(癲癎)이라 한다.(痰溢膈上則眩甚, 仆倒於地而不知人, 名之曰癲癎.)" "서사백(徐嗣伯)이 말하기를, 어른은 전(癲)이라 하고 아이는 간(癎)이라 하나 실제로는 동일한 병이다.(大人曰癲, 小兒曰癎, 其實一疾也.)"라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