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내경편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

한들 약초방 2015. 11. 3. 12:13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

 

 

治陽狂奔走罵當歸大黃各一兩芒硝七錢甘草五錢右每一兩薑五片棗十枚水一椀煎至半去渣溫服硝黃去胃中實熱當歸補血甘草緩中加薑棗者引入胃中也《保命》

 

양광증(陽狂證)으로 아무 데나 달아나고 욕설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대황 각각 40g, 망초 28g, 감초 2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40g 생강 5, 대추 10개와 함께 한사발에 넣고 달여 절반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 망초와 대황은 속의 실열(實熱) 내리고 당귀는 피를 보하며 감초는 속을 완화하게 한다. 생강와 대추를 넣는 것은 위경(胃經)으로 이끌고 들어가게 하자는 것이다[보명].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보명(保命)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일(卷一) 신(神)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당귀(當歸): 37.5 g.

대황(大黃): 37.5 g.

망초(芒硝): 26.2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한번에 37.5g씩 생강 5편, 대추 10매와 함께 물 한사발에 넣고 달여 절반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

 

주치병증

양광(陽狂)

광증(狂證)의 하나. 열사(熱邪)가 양경(陽經)에 들어가서 양기(陽氣)가 지나치게 왕성하여 발작하는 광증을 말함.

 

================================================================================

출처 ; 경악전서(景岳全書)(1610년)

편명 ; 권지오십오 우집 고방팔진(卷之五十五 宇集 古方八陣) 공진(攻陣)

 

구성약재

감초(甘草): 7.5 g.

당귀(當歸): 15 g.

대황(大黃): 15 g.

망초(芒硝): 7.5 g.

 

조제용법 ; 잘게 썰어 생강 넣고 달여 복용한다(右㕮咀. 入薑煎服)

 

주치병증

대소변비결(大小便秘結)

대소변을 보지 못하는 것.

양방병증 ; 변비; 요폐; 소변장애

 

비건(鼻乾)

코안이 마르는 증. 혈기내손(血氣內損) 혹은 풍열상승(風熱上昇)으로 일어남. 두통이 나고, 기열(肌熱)이 있고, 손, 발가락 끝이 약간 차고, 맥은 부삭(浮數)하고 긴(緊)함.

이명 ; 비건조(鼻乾燥)

양방병증 ; 코건조증

 

이열(裏熱)

사열(邪熱)이 치성하는 이증(裏證). 대부분 병사(病邪)가 안으로 들어가거나 장부(臟腑)에 열이 쌓임으로써 발생한다. 몸에서 열이 나고 땀이 많이 나며 목이 말라 물을 마시려 하고, 가슴에 번열(煩熱)이 나면서 입이 쓰며 소변이 짧고 붉으며 배뇨시에 찌르는 듯이 아프고, 혀는 붉은색을, 태(苔)는 황색을 띠며 맥은 홍삭(洪數)하거나 현삭(弦數)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치료는 청열사화법(淸熱瀉火法)을 위주로 하여야 한다. [상한론(傷寒論)] <변궐음병맥증병치(辨厥陰病脈證幷治)>에서 "상한(傷寒)하여 맥이 활(滑)하면서 궐(厥)한 경우는 안에 열이 있기 때문으로 백호탕(白虎湯)으로 치료한다.(傷寒脈滑而厥者, 裏有熱, 白虎湯主之.)"라고 하였다.

이명 ; 이열증(裏熱證), 양명경증(陽明經證)

 

인건(咽乾)

목구멍이 마르는 증상. 목구멍이나 온몸의 질환에 흔히 나타나는 증상의 하나로, 허(虛)와 실(實) 2가지로 나뉜다. 허인 경우는 간(肝)과 신(腎)의 음이 이지러져 허화(虛火)가 타올라 목구멍을 태우므로 일어나는데, 목구멍이 메마르면서 곁들여 조열(潮熱; 오후에 한두 차례 열이 오르는 것)이 나고, 입술이 빨갛고, 볼이 불그스름하며,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면서 힘이 없고, 맥(脈)은 세삭(細數)하다.

이명 ; 익건(嗌乾)

양방병증 ; 인후통

 

조열(燥熱)

조기(燥氣)를 받아들여 진액(津液)이 모상(耗傷)되면 열이 나는 병증. 조화(燥火)라고도 함. [시병론(時病論)]에서 "만약 열(熱)이 있으면서 땀이 나고, 인후(咽喉)에 통증이 생기면, 이것은 조(燥)의 양기(凉氣)가 이미 화(化)하여 화(火)가 된 것이다.(若熱有汗, 咽喉作痛, 是燥之凉氣, 已化爲火.)"라고 하였다.

화울(火鬱)

울증(鬱證)의 하나. 열사(熱邪)가 체내에 잠복해 있는 것. 정서장애로 간기(肝氣)가 몰려서 오래되면 흔히 화(火)로 변함. 어지럽고 두통이 나며, 입이 쓰고 마르며, 성질이 조급하고, 흉협비민(胸脇痞悶)이 있고, 눈이 충혈되고, 이명(耳鳴)이 있고, 가슴이 쓰리고, 신트림이 나고, 대변이 조결(燥結)함.

이명 ; 열울(熱鬱)

 

피부고조(皮膚枯燥)

몸의 진액이 결핍해 피부에 윤기가 없는 것이 심해진 증.

'^*^동의보감^*^ > 동의보감내경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황사심탕(牛黃瀉心湯)   (0) 2015.11.03
황련사심탕(黃連瀉心湯)  (0) 2015.11.03
전광(癲狂)   (0) 2015.11.03
단간단(斷癎丹)  (0) 2015.11.03
반단환(礬丹丸)  (0) 2015.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