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내경편

단간단(斷癎丹)

한들 약초방 2015. 11. 3. 12:07

 단간단(斷癎丹)

 

 

 

 

治癲癎愈而復發作止無常黃釣鉤藤細辛甘草各五錢蛇退一條燒存性蟬退全者四枚牛黃一字右爲末棗肉爲丸梧子大小兒菉豆大每二十丸人參湯呑下《入門》

 

전간이 나았다가 도져서 때없이 발작했다 멎었다 하는 것을 치료한다.

황기, 조구등, 족두리풀(세신), 감초 각각 20g, 뱀허물(사퇴, 약성이 남게 태운다) 1, 매미허물(선퇴, 온전한 ) 4, 우황 1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대추살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어린이의 것은 녹두알만하게 만든다). 한번에 20알씩 인삼을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입문(入門)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일(卷一) 신(神)

 

내용 ; 간질이 시도 때도 없이 발작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사퇴(蛇退): 1 조(條). 태워서 성질을 보존한다.

선태(蟬蛻): 4 매(枚). 완전한 것.

세신(細辛): 18.75 g.

조구등(釣鉤藤): 18.75 g.

황기(黃芪): 18.75 g.

우황(牛黃): 1 자밤(字).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대추살로 반죽한 다음 오동나무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어린이의 것은 녹두알만하게 만든다). 한번에 20알씩 인삼을 달인 물로 먹는다.

 

주치병증

전간(癲癎)

(1) 간질(癎疾). 간병(癎病), 풍현(風眩)이라고도 한다. 고대에는 전(癲), 간(癎)의 두 글자가 통용되었다.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제45권에서 "10세 이상은 전(癲)이 되고, 10세 이하는 간(癎)이 된다.(十歲以上爲癲, 十歲以下爲癎)"라고 하였다. (2) 전증(癲證)과 간증(癎證)을 통틀어 일컫는 말. 전은 정신착란의 일종이며, 간은 발작성 정신 질병을 말한다. [증치준승(證治準繩)] <잡병(雜病)>에서 "[소문(素問)]에서는 전(癲)만 말하고 간(癎)을 언급하지 않았다. [영추(靈樞)]에는 간계(癎瘈), 간궐(癎厥)이라는 병명이 있다. 그 밖의 여러 책들에서는 전광(癲狂)이라 하기도 하고 전간(癲癎)이라 하기도 하고 풍간(風癎)이라 하기도 하고 경간(驚癎)이라 하기도 하고 전(癲)과 간(癎)을 두 부문으로 나누기도 하여 정설(定說)이 없다. ……요컨대 전(癲), 간(癎), 광(狂)은 아주 동떨어진 다른 것이 아니라 사실상 하나를 말하는 것이다.([素問]止言癲而不及癎. [靈極]乃有癎瘈, 癎厥之名. 諸書有言癲狂者, 有言癲癎者, 有言風癎者, 有言驚癎者, 有分癲癎爲二門者, 迄無定論. ……要之, 癲, 癎, 狂大相徑庭, 非各殊而實一之謂也.)"라고 하였다.

이명 ; 간(癎), 전(癲)

양방병증 ; 간질; 열성 경련; 달리 분류되지 않은 경련

'^*^동의보감^*^ > 동의보감내경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  (0) 2015.11.03
전광(癲狂)   (0) 2015.11.03
반단환(礬丹丸)  (0) 2015.11.03
편복산( 散)  (0) 2015.11.03
활호단(活虎丹)  (0) 2015.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