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근피환(樗皮丸)
◈治房勞過傷精滑夢遺樗根白皮炒爲末酒糊和丸梧子大然性凉而燥不可單服須以八物湯煎水呑下爲佳《入門》
◈성생활이 너무 지나쳐서 몸이 상하여 생긴 유정과 몽설을 치료한다.
가죽나무뿌리껍질(저근백피, 닦은 것).
위의 약을 가루내어 술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이 약은 성질이 차고 조(燥)해서 이 한 가지만을 먹을 수 없다. 반드시 팔물탕을 달인 물로 먹는 것이 좋다[입문].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입문(入門)
편명 ; 내경편(內景篇) 권일(卷一) 정(精)
내용 ; 성생활이 과도하여 가만있어도 정액이 새어나오거나, 잠자는 도중에 정액이 새어나오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저근백피(樗根白皮): 볶는다.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술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오동나무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팔물탕(八物湯)을 달인물로 알약을 복용한다.
금기사항 ; 이 약은 성질이 차고 조(燥)해서 이 한 가지만을 먹을 수 없다.
주치병증
몽유(夢遺)
꿈속에서 사정(射精)하는 것. 유정(遺精)의 일종.
이명 ; 몽실정(夢失精), 몽설(夢洩), 몽설정(夢泄精), 몽설(夢泄)
양방병증 ;몽유병
방로상(房勞傷)
방실로상(房室勞傷), 방실상(房室傷) 행방과도로 생긴 허로 상태. 심화(心火)가 왕성하고 신수(腎水)가 쇠갈하여, 즉 색욕(色欲)이 과다하여 절제하지 못해 생김. 신정(腎精)이 날로 소모되어 신장이 공허해지고 몽설(夢泄), 유설(遺泄)이 있게 됨. 또한 협통, 위완부동통, 소복통, 안색위황(顔色萎黃) 또는 안색여흑(顔色黎黑) 등의 증상이 따름.
이명 ; 방실상(房室傷), 색욕상(色欲傷), 색로(色勞)
정활(精滑)
유정(遺精)의 하나. [경악전서(景岳全書)] <잡증모(雜證謨)>에 "꿈꾸지 않아도 정(精)이 저절로 나오는 것을 활정(滑精)이라 한다.(不因夢而精自出者, 謂之滑精.)"라고 하였다.
이명 ; 유정(遺精), 활정(滑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