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풍산(消風散) ♣
◈治諸風上攻頭目昏眩鼻塞耳鳴皮膚麻痒及婦人血風頭皮腫痒荊芥甘草各一錢人參茯巔白召蠶川芎防風藿香蟬殼羌活各五分陳皮厚朴各三分右犫作一貼入細茶一撮同煎服或爲末每二錢以茶淸或溫酒調下《入門》
◈여러 가지 풍이 위로 올라와서 머리가 어지럽고 눈 앞이 캄캄해지며 코가 막히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피부가 저리면서 가려운 것과 부인이 혈풍(血風)㈜증으로 머리의 피부가 부으면서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형개, 감초 각각 4g, 인삼, 솔풍령(복령), 백강잠, 궁궁이(천궁), 방풍, 곽향, 매미허물(선각), 강호리(강활) 각각 2g, 귤껍질(陳皮), 후박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작설차 1잔 반과 함께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이나 데운 술에 타 먹는다[입문].
[註] 혈풍(血風) : 피부병의 하나인데 피부가 벌겋게
부어나다가 작은 물집이 생기고 그 물집빛이 자줏빛으로 변하는 것.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팔(卷八) 제창(諸瘡)
구성약재
백지(白芷): 37.5 g.
인삼(人蔘): 37.5 g.
전갈(全蝎): 3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7.5g씩 먹는데 저녁밥을 먹지 않고 있다가 다음날 아침 빈속에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 먹은 다음 온몸이 약간 마르는 것 같이 되면 효과가 있는 것이다.
효능 ; 문둥병을 치료하는데 첫날에 먹는 약이다.
주치병증
제창(諸瘡)
모든 종류의 창양(瘡瘍).
================================================================================
출처 ; 의학정전(醫學正傳)(1515년)
편명 ; 반진(班疹)
구성약재
대황(大黃): 112.5 g.
산치자(山梔子): 18.75 g.
숙지황(熟地黃): 112.5 g.
활석(滑石): 112.5 g.
조제용법 ; 위의 약을 잘게 잘라 매번 두돈씩 형개탕(荊芥湯)이나 맑은 차로 복용한다.
주치병증
구취(口臭)
입안에서 냄새가 나는 증. 구강내의 불결, 비위열(脾胃熱), 식체(食滯), 허화울열(虛火鬱熱)로 발생함. 또 치옹(齒癰), 폐옹(肺癰)이 있어도 생김. 비열(脾熱)로 생기면 입이 쓰고 목구멍이 마르며, 찬 것을 좋아하고, 소변은 적색이며 소량이고, 대변이 굳고, 혀가 진홍색이며 설태는 황색임. 위열(胃熱)로 생기면 입이 쓰고, 목구멍이 부음. 식체면 쉰 냄새가 나는 트림을 하고, 상복통(上腹痛)이 있고, 설태는 후니(厚膩)하고, 맥은 활(滑)함. 허화(虛火)로 생기면 입에 비린내가 나고, 목구멍이 마르고, 식욕이 없고, 오심번열이 있고, 설강태건(舌絳苔乾)하고, 맥은 삭(數)함.
양방졍증 ; 구취; 입냄새
시물불명(視物不明)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 것
양방병증 ; 흐려보임, 흐린시력
시종(腮腫)
이하선(耳下腺)이 붓는 병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
이명 ; 자시
풍사(風邪)
육음(六淫)의 하나.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바람(風)을 말함. [소문(素問)] <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에서 "풍(風)이라는 것은 모든 병의 시작이다.(風者, 百病之始也)"라고 하였으며, <옥기진장론(玉機眞藏論)>에서는 "풍이라는 것은 모든 병의 우두머리이다.(風者, 百病之長也)"라고 하였다. [소문(素問)] <풍론(風論)>에서 "풍이라는 것은 잘 옮겨다니면서 자주 변한다.(風者善行而數變)"라고 하였고, 또 "풍이라는 것은 모든 병의 우두머리이다. 그 변화에 이르러서 이에 다른 병이 되는데 정해진 방향은 없지만 풍기(風氣)가 있다.(風者百病之長也, 至其變化, 乃爲他病也, 無常方, 然致有風氣也.)"라고 하였다.
=================================================================================
출처 ; 태평혜민화제국방(太平惠民和劑局方)(11세기)
편명 ; 권지일(卷之一) 치제풍(治諸風)
구성약재
감초(甘草): 75 g. 볶는다.
강활(羌活): 75 g.
곽향엽(藿香葉): 75 g. 가지를 제거한다.
궁궁(芎藭): 75 g.
방풍(防風): 75 g. 노(蘆)를 제거한다.
백강잠(白殭蠶): 75 g. 볶는다.
복령(茯苓): 75 g. 껍질을 제거한다.
선각(蟬殼): 75 g. 흙을 제거하고 약간 볶는다.
인삼(人蔘): 75 g. 노(蘆)를 제거한다.
진피(陳皮): 18.75 g. 속을 제거하고 씻어서 은근한 불로 말린다.
형개수(荊芥穗): 75 g.
후박(厚朴): 18.75 g. 껍질을 제거하고 구워서 익힌다.
조제용법 ; 약재를 분말내어 한 번에 7.5g씩 차청(茶淸)에 복용한다. 오래 앓으면 매일 3번씩 복용한다.
주치병증
부인혈풍(婦人血風)
부녀혈풍창(婦女血風瘡) 간비(肝脾)의 풍열(風熱)이 막혀 화(火)가 되어 혈(血)이 조(燥)해 일어남. 몸에 흘답(疙瘩)이 생겨 아프고 가려움. 긁으면 헌데가 되어 고름과 진물이 떨어지고, 월경이 멋대로 나오고, 밤에 열이 있고 땀이 나며, 오한증열(惡寒憎熱)하고, 권태롭고, 음식을 먹기 싫어함. 삼출성홍반병(滲出性紅斑病), 구진성습진(丘疹性濕疹)의 類.
제풍상공(諸風上功)
풍사(風邪)가 상부로 침입하는 모든 경우.
두목통현(頭目痛眩)
머리와 눈이 아프고 아찔해지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