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외형편

보허음(補虛飮)

한들 약초방 2015. 11. 7. 09:07

 보허음(補虛飮)

 

 

治氣鬱涎盛面熱悸及風虛眩暈人參麥門冬山藥各一錢白茯茯神各八分半夏製黃各七分前胡熟地黃各五分枳殼遠志薑製甘草灸各三分右入薑五片米一撮水煎溫服《入門》

 

기가 몰려 담이 성해서 얼굴이 달고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과 풍허(風虛) 어지럼증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인삼, 맥문동, (서여) 각각 4g, 흰솔풍령(백복령), 복신 각각 3.2g, 끼무릇(반하, 법제한 ), 황기 각각 2.8g, 전호, 찐지황 각각 2g, 지각, 원지(생강즙에 법제한 ), 감초(닦은 )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5, 차좁쌀 한자밤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뜨겁게 하여 먹는다[입문].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입문(入門)

편명 ; 외형편(外形篇) 권일(卷一) 두(頭)

 

내용 ; 기울(氣鬱)로 인해 얼굴이 붉고, 두근거림, 어지럼증이 있을 때 쓰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1.125 g. 굽는다.

맥문동(麥門冬): 3.75 g.

반하(半夏): 2.625 g. 포제한다.

백복령(白茯苓): 3 g.

복신(茯神): 3 g.

산약(山藥): 3.75 g.

숙지황(熟地黃): 1.875 g.

원지(遠志): 1.125 g. 생강으로 포제한다.

인삼(人蔘): 3.75 g.

전호(前胡): 1.875 g.

지각(枳殼): 1.125 g.

황기(黃芪): 2.62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생강 5쪽, 차좁쌀 한 줌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뜨겁게 하여 먹는다.

 

주치병증

기울(氣鬱)

(1) 울증(鬱證)의 하나.기기(氣機)의 울결(鬱結), 즉 기혈운행(氣血運行)의 실조와 유관(有關)함. 대체로 임상에서 간기울결(肝氣鬱結)을 말함. 칠정내상(七情內傷)으로 간기(肝氣)가 펴이지 못해 생김. 대개 도모했던 일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갑자기 기기가 불리하거나, 크게 성을 내거나, 지나친 생각으로 일어남. 우울하고, 가슴이 그득하고, 옆구리가 아프며, 맥은 침(沈), 색(濇)함. 종종 각종 울증이 기울에서 비롯됨. (2) 기체(氣滯)와 같음.

 

면열(面熱)

머리에 열감이 있는 증상.

이명 ; 두열(頭熱), 두면열(頭面熱)

양방병증 ; 얼굴홍조

 

풍허(風虛)

몸이 허해져서 생기는 풍증

 

현훈(眩暈)

두혼목현(頭昏目眩)하고 훈궐(暈厥)하는 것.대개 간(肝), 비(脾), 신(腎)의 기능장애로 일어남. 심하면 핑 돌아서 쓰러지고 가슴이 막히며 구토가 일어남. 원인에 따라 상풍현훈(傷風眩暈), 중서현훈(中暑眩暈), 풍열현훈(風熱眩暈), 한습현훈(寒濕眩暈), 담화현훈(痰火眩暈), 기울현훈(氣鬱眩暈), 기허현훈(氣虛眩暈), 상습현훈(傷濕眩暈), 혈허현훈(血虛眩暈), 간사현훈(肝邪眩暈) 등으로 나눔.

양방병증 ; 수두증; 저혈압; 뇌경색증; 뇌내출혈; 어지러움; 이차 고혈압; 철결핍성 빈혈; 청신경의 장애; 비타민 A 결핍증; 고혈압성 뇌병증; 뇌의 악성신생물; 대뇌 죽상경화증; 전정기능의 장애; 현기 및 어지러움; 본태성(원발성) 고혈압; 중증 근육무력증 및 기타 근신경성 장애; 일과성 대뇌 허혈성 발작 및 관련 증후군; 뇌 및 기타 중추 신경계통 부위의 양성신생물; 척수, 뇌신경 및 중추 신경계통의 기타 부위의 악성신생물

'^*^동의보감^*^ > 동의보감외형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귤음(香橘飮)  (0) 2015.11.07
허훈(虛暈)  (0) 2015.11.07
옥액탕(玉液湯)   (0) 2015.11.07
기훈(氣暈)   (0) 2015.11.07
청훈화담탕(淸暈化痰湯)  (0) 2015.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