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풍산(防風散) ♣
◈治頭目不淸去風明目防風川芎白芷甘菊甘草各一兩右爲末每二錢茶淸調下《丹心》
◈머리와 눈이 시원하지 못한 것을 치료하는데 풍(風)을 없애고 눈을 밝아지게 한다.
방풍,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단국화(감국), 감초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찻물에 타 먹는다[단심].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십칠(券第十七) 구치겸인후과(口齒兼咽喉科) 치병(齒病)
구성약재
방풍(防風):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학슬(鶴蝨):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조제용법 ; 잘게 썰어 달여 입에 머금는다.
주치병증
아동(牙疼)
치통.[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제29권에 나옴. 이가 아픈 것으로서 원인에는 4가지가 있다. (1) 화(火)로 인한 경우는 양명(陽明)에 숨어 있는 화가 풍열(風熱)의 사기와 서로 다투어 풍화(風火)가 위로 타올라 이가 아픈 것이다. 앓는 이를 차게 해주면 통증이 줄어든다. (2) 한(寒)으로 인한 경우는 풍한(風寒)의 사기가 침입하여 이가 아픈 것인데 앓는 이를 따뜻하게 해주면 통증이 줄어든다. (3) 허(虛)로 인한 경우는 대부분 간(肝)과 신(腎)이 모두 허쇠(虛衰)해져 허화(虛火)가 위로 타오르기 때문에 이가 흔들리고 은근히 아프며 맥이 세삭(細數)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4) 습열(濕熱)이 수족양명(手足陽明) 두 경맥(經脈)에 침입한 경우는 잇몸이 붓고 헐거나, 이가 썩어 들어가고 심지어 벌레 먹은 구멍이 나고 아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명 ; 아통(牙痛)
양방병증 ; 치통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칠(卷第七) 실혈(失血)
구성 약제
강활(羌活):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박하(薄荷):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방풍(防風):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지각(枳殼):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형개(荊芥):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강잠(僵蠶):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볶아서 실처럼 나오는 것을 제거한다.
조제용법 ; 약재들을 잘게 썰어 물에 달여 빈속에 따뜻하게 복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