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신산(四神散) ♣
◈治婦人血風眩暈頭痛甘菊當歸旋覆花荊芥穗各等分右爲末每二錢瘳白三寸茶末一錢煎水調下《良方》
◈부인이 혈풍(血風)으로 어지럽고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단국화(감국), 당귀, 선복화, 형개수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쓰는데 파밑(총백) 3치와 찻가루 4g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양방].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양방(良方)
편명 ; 외형편(外形篇) 권일(卷一) 두(頭)
구성약재
감국(甘菊):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당귀(當歸):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선복화(旋覆花):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형개수(荊芥穗):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7.5g씩 쓰는데 총백 3치와 찻가루 3.75g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주치병증
부인혈풍(婦人血風)
부녀혈풍창(婦女血風瘡) 간비(肝脾)의 풍열(風熱)이 막혀 화(火)가 되어 혈(血)이 조(燥)해 일어남. 몸에 흘답(疙瘩)이 생겨 아프고 가려움. 긁으면 헌데가 되어 고름과 진물이 떨어지고, 월경이 멋대로 나오고, 밤에 열이 있고 땀이 나며, 오한증열(惡寒憎熱)하고, 권태롭고, 음식을 먹기 싫어함. 삼출성홍반병(滲出性紅斑病), 구진성습진(丘疹性濕疹)의 類.
현훈두통(眩暈頭痛)
어지럽고 머리가 아픈 것.
양방병증 ; 두통
======================================================================
출처 ; 태평혜민화제국방(太平惠民和劑局方)(11세기)
편명 ; 권지구(卷之九) 치부인제질(治婦人諸疾)
구성약재
건강(乾薑):
당귀(當歸):
적작약(赤芍藥):
천궁(川芎):
조제용법 ; 약재들을 분말로 찧는다. 한번에 작은 한숟가락 정도의 약을 따뜻한 술에 복용한다.
주치병증
복통하리(腹痛下痢)
복통으로 하리하는 것. 하리는 이질과 설사를 통칭하여 이르는 말.
양방병증 ; 복통; 설사
산후악혈불거(産後惡血不去)
산후(産後)에 나쁜 피가 다 나오지 않는 것.
심복교통(心腹絞痛)
흉복부(胸腹部)의 통증이 아주 심한 상태.
양방병증 ; 상복부의 심한통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