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두통(偏頭痛) ♣
◈偏頭痛者頭半邊痛者是也《丹心》
◈편두통이라는 것은 한쪽 머리가 아픈 것을 말한다[단심].
◈如頭半寒痛者偏頭痛也《丹心》
◈ 한쪽 머리가 차면서 아픈 것[寒痛]이 편두통이다[단심].
◈偏頭痛在右屬痰屬熱痰用蒼朮半夏熱用酒製片芩在左屬風屬血虛風用荊芥薄荷血用芎歸芍藥酒黃栢《丹心》
◈ 머리의 오른쪽이 아픈 것은 담(痰)에 속한 것도 있고 열(熱)에 속한 것도 있다. 담에 속하는 데는 삽주(창출), 끼무릇(반하)을 쓰고 열에 속하는 데는 속썩은풀(황금, 술에 법제한 것)을 쓴다. 머리의 왼쪽이 아픈 것은 풍(風)에 속한 것도 있고 혈허(血虛)에 속한 것도 있다. 풍에 속하는 데는 형개, 박하를 쓰고 혈허에 속하는 데는 궁궁이(천궁),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황백(술에 법제한 것)을 쓴다[단심].
◈偏頭痛在右二陳湯加川芎白芷防風荊芥薄荷升麻在左二陳湯合四物湯加防風荊芥薄荷細辛蔓荊子柴胡酒芩《正傳》
◈ 머리의 오른쪽이 아플 때에는 이진탕에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방풍, 형개, 박하, 승마를 넣어 쓰고 왼쪽이 아플 때에는 이진탕과 사물탕을 섞은 데 방풍, 형개, 박하, 족두리풀(세신), 순비기열매(만형자), 시호, 속썩은풀(황금, 술에 법제한 것)을 넣어 쓴다[정전].
◈頭風之甚者久則目昏偏頭痛者屬少陽相火久則目束小大便秘澁皆宜出血而大下之《子和》
◈ 두풍증이 오랫동안 심하면 눈 앞이 어지럽다. 편두통은 소양상화(少陽相火)에 속하는데 오래되면 눈귀[目束]가 작아지고 대변이 굳어져서 잘 나가지 않는다. 이런 때에는 모두 침으로 피를 빼내고 설사를 심하게 시키는 것이 좋다[자화].
◈偏頭痛年久大便燥目赤眩暈者此肺乘肝氣鬱血壅而然宜大承氣湯(方見寒門)下之外用大黃芒硝爲末井底泥調貼兩太陽穴乃愈《入門》
◈ 한쪽 머리가 아픈 것이 여러 해 되도록 낫지 않고 대변이 몹시 굳으며 눈에 피지고 어지러운 것은 폐(肺)가 간(肝)을 억제하여 기가 몰리고 혈이 막혔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대승기탕(大承氣湯) (大承氣湯, 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써서 설사시켜야 한다. 그 다음 외용약으로 대황과 망초를 가루내어 우물 밑바닥 흙에 개어 쓰는데 양쪽 태양혈 부위에 붙이면 효과가 있다[입문].
◈偏頭痛宜川芎茶調散一字輕金散川芎散芎犀元㵏鼻法《入門》
◈ 한쪽 머리가 아픈 데는 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 일자경금산(一字輕金散) 천궁산(川芎散) 궁서원(芎犀元) 을 쓰거나 코에 불어 넣는 방법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足少陽之脈起目銳潮上抵頭角其病頭角額痛此偏頭痛也《靈樞》
◈ 족소양경맥은 눈초리에서 시작하여 머리 양쪽으로 올라간다. 때문에 여기에 병이 생기면 이마 모서리가 아프다. 이것을 편두통(偏頭痛)이라 한다[영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