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외형편

옥진환(玉眞丸)

한들 약초방 2015. 11. 7. 10:08

 옥진환(玉眞丸)

 

 

內經曰頭痛疾下虛上實過在足少陰巨陽甚則入腎許學士曰腎厥頭痛也此藥主之硫黃二兩石膏半夏製硝石各一兩右爲末薑汁糊和丸梧子大陰乾每二三十丸薑湯或米飮下《綱目》

『내경』에 “머리가 아프고 머리에 병이 생기는 것은 하초(下焦) 허하고 상초(上焦) 실하기 때문인데 원인은 족소음과 족태양에 있다.

심해지면 ()으로 들어간다”고 씌어 있다. 허학사(許學士) 신궐두통(腎厥頭痛) 약으로 주로 치료한다고 하였다.

유황 80g, 석고(달군 ), 끼무릇(반하, 법제한 ), 초석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즙에 밀가루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그늘에서 말린다. 한번에 20-30알씩 생강을 달인 물이나 미음으로 먹는다[강목].

 

頭痛筋攣骨重少氣噫腹滿時驚不嗜臥咳嗽煩寃其脈擧之則弦按之石堅由腎氣不足而內着其氣逆而上行謂之腎厥宜服此藥更灸關元百壯《資生》

 머리가 아프면서 힘줄이 가드라들며 팔다리가 무겁고 기운이 없으며 딸꾹질과 트림이 나고 배가 불러 오르며 가끔 놀라고 눕기를 싫어하며 기침이 나고 답답하며 슬퍼하는데 맥은 약간 눌러 보면 ()하고 힘주어 눌러 보면 석견(石堅) 것은 신기(腎氣) 부족하여 속으로 기가 치밀어 올라갔기 때문이다. 이것을 신궐(腎厥)이라고 하는데 약을 먹거나 관원혈(關元穴) 100장을 뜨는 것이 좋다[자생].

 

=======================================================================================

출처 ; 의방집해(醫方集解)(1692년)

 

내용 ; 신궐두통(腎厥頭痛)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반하(半夏): 37.5 g.

석고(石膏): 37.5 g.

초석(硝石): 37.5 g.

생유황(生硫黃): 75 g.

 

조제용법 ; 생강즙으로 환을 만들어 생강탕이나 혹은 쌀물로 매번 40환을먹는다(薑汁糊丸,薑湯或米飮下,每四十丸).

 

주치병증

신궐두통(腎厥頭痛)

신기(腎氣)가 위로 역행하여 발생하는 두통.[보제본사방(普濟本事方)] 제2권에 "신기가 부족하여 기가 거슬러 올라감으로써 머리가 아파 참을 수 없는 것을 신궐(腎厥)이라고 한다. 맥은 거(擧; 깊이 눌렀다가 살짝 들어올림)하면 현(弦)하고, 눌러보면 돌처럼 단단하다.(治腎氣不足, 氣逆上行, 頭痛不可忍, 謂之腎厥. 其脈擧之則弦, 按之石堅.)"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두통

'^*^동의보감^*^ > 동의보감외형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궐두통(痰厥頭痛)  (0) 2015.11.07
옥진환(玉眞丸)  (0) 2015.11.07
백부자산(白附子散)  (0) 2015.11.07
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  (0) 2015.11.07
궐역두통(厥逆頭痛)  (0) 2015.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