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생환(三生丸) ♣
◈治痰厥頭痛半夏白附子天南星各等分右爲末薑汁浸蒸餠和丸菉豆大食後薑湯下四五十丸《得效》
◈담궐두통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노랑돌쩌귀(백부자), 천남성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즙에 담갔던 증병에 반죽해서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40-50알씩 끼니 뒤에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득효].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외집(外集)-잡병용약부상(雜病用藥賦上)-풍류(風類)-두풍(頭風)
구성약재
남성(南星):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반하(半夏):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백부자(白附子):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조제용법 ; 갈아서 생강즙으로 찐 뒤 녹두 크기의 환을 만든다. 40환씩 생강탕으로 복용한다(爲末 薑汁 蒸餠和爲丸 菉豆大 每40丸 薑湯下)
주치병증
담궐두통(痰厥頭痛)
담수(痰水)가 안에 맺혀 음기(陰氣)가 거스름으로 발생하는 두통. [외대비요(外臺秘要)] 제8권에서 "담궐두통(痰厥頭痛)은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에서 말하기를, 담수가 흉격부(胸膈部)의 위에 있는데다가 매우 찬 기운을 쐬어 양기(陽氣)가 돌지 못하는데, 담수가 맺히고 뭉쳐 흩어지지 못하니 음기가 거슬러 올라가 풍담(風痰)과 엉켜 머리로 치솟으면 머리가 아프다. 여러 해 동안 낫지 않고 오래되면 머릿속마저 아프다고 하였다.(痰厥頭痛方: 病源謂, 痰水在於胸膈之上, 又犯大寒, 使陽氣不行, 令痰水結聚不散, 而陰氣逆上與風痰相結, 上沖於頭, 卽令頭痛. 或數載不已, 久連腦痛.)"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두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