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
◈治痰厥頭痛半夏製二錢川芎細辛南星礐陳皮赤茯巔各一錢枳殼甘草各五分右犫作一貼薑七片水煎服《寄效》
◈담궐두통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8g, 궁궁이(천궁), 족두리풀(세신), 천남성(싸서 구운 것),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지각,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
출처 ; 경악전서(景岳全書)(1610년)
편명 ; 권지오십육 자집 고방팔진( 卷之五十六 字集 古方八陣),산진(散陣)
내용 ; 담(痰)으로 인해서 사지가 차지고 기운이 막혀서 두통이 발생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3.75 g.
귤홍(橘紅): 5.625 g.
남성(南星): 5.625 g.
반하(半夏): 7.5 g.
복령(茯苓): 5.625 g.
세신(細辛): 5.625 g.
지실(枳實): 3.75 g.
천궁(川芎): 5.625 g.
조제용법 ; 물 1그릇 반에 생강 7쪽을 넣고 8푼이 되게 달여 식후에 복용한다(水一鍾半, 薑七片, 煎八分. 食後服)
주치병증
담궐두통(痰厥頭痛)
담수(痰水)가 안에 맺혀 음기(陰氣)가 거스름으로 발생하는 두통. [외대비요(外臺秘要)] 제8권에서 "담궐두통(痰厥頭痛)은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에서 말하기를, 담수가 흉격부(胸膈部)의 위에 있는데다가 매우 찬 기운을 쐬어 양기(陽氣)가 돌지 못하는데, 담수가 맺히고 뭉쳐 흩어지지 못하니 음기가 거슬러 올라가 풍담(風痰)과 엉켜 머리로 치솟으면 머리가 아프다. 여러 해 동안 낫지 않고 오래되면 머릿속마저 아프다고 하였다.(痰厥頭痛方: 病源謂, 痰水在於胸膈之上, 又犯大寒, 使陽氣不行, 令痰水結聚不散, 而陰氣逆上與風痰相結, 上沖於頭, 卽令頭痛. 或數載不已, 久連腦痛.)"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두통
============================================================================
출처 ; 방약합편(方藥合編)(1884년) 증치준승유방(證治準繩類方)-권4책(卷四冊)
편명 ; 하통(下統)
내용 ; 담(痰)으로 인해서 사지가 차지고 기운이 막혀서 두통이 발생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1.875 g.
남성(南星): 3.75 g. 포제한다.
반하(半夏): 7.5 g.
생강(生薑): 7 조각(片).
세신(細辛): 3.75 g.
적복령(赤茯苓): 3.75 g.
지각(枳殼): 1.875 g.
진피(陳皮): 3.75 g.
천궁(川芎): 3.75 g.
조제영법 ; 약들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
주치병증
담궐두통(痰厥頭痛)
담수(痰水)가 안에 맺혀 음기(陰氣)가 거스름으로 발생하는 두통. [외대비요(外臺秘要)] 제8권에서 "담궐두통(痰厥頭痛)은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에서 말하기를, 담수가 흉격부(胸膈部)의 위에 있는데다가 매우 찬 기운을 쐬어 양기(陽氣)가 돌지 못하는데, 담수가 맺히고 뭉쳐 흩어지지 못하니 음기가 거슬러 올라가 풍담(風痰)과 엉켜 머리로 치솟으면 머리가 아프다. 여러 해 동안 낫지 않고 오래되면 머릿속마저 아프다고 하였다.(痰厥頭痛方: 病源謂, 痰水在於胸膈之上, 又犯大寒, 使陽氣不行, 令痰水結聚不散, 而陰氣逆上與風痰相結, 上沖於頭, 卽令頭痛. 或數載不已, 久連腦痛.)"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두통
목폐불개(目閉不開)
눈을 감고 뜨지 못하는 병증.
양방병증 ; 눈꺼풀운동못함증
욕토불토(欲吐不吐)
토(吐)하고자 하나 토(吐)하지 못하는 증
현훈(眩暈)
두혼목현(頭昏目眩)하고 훈궐(暈厥)하는 것. 대개 간(肝), 비(脾), 신(腎)의 기능장애로 일어남. 심하면 핑 돌아서 쓰러지고 가슴이 막히며 구토가 일어남. 원인에 따라 상풍현훈(傷風眩暈), 중서현훈(中暑眩暈), 풍열현훈(風熱眩暈), 한습현훈(寒濕眩暈), 담화현훈(痰火眩暈), 기울현훈(氣鬱眩暈), 기허현훈(氣虛眩暈), 상습현훈(傷濕眩暈), 혈허현훈(血虛眩暈), 간사현훈(肝邪眩暈) 등으로 나눔.
양방병증 ; 수두증; 저혈압; 뇌경색증; 뇌내출혈; 어지러움; 이차 고혈압; 철결핍성 빈혈; 청신경의 장애; 비타민 A 결핍증; 고혈압성 뇌병증; 뇌의 악성신생물; 대뇌 죽상경화증; 전정기능의 장애; 현기 및 어지러움; 본태성(원발성) 고혈압; 중증 근육무력증 및 기타 근신경성 장애; 일과성 대뇌 허혈성 발작 및 관련 증후군; 뇌 및 기타 중추 신경계통 부위의 양성신생물; 척수, 뇌신경 및 중추 신경계통의 기타 부위의 악성신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