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
◈治脾胃虛弱痰厥頭痛其證頭苦痛如裂身重如山四肢厥冷嘔吐眩暈目不敢開如在風雲中半夏製陳皮麥芽炒各一錢半白朮神麴炒各一錢蒼朮人參黃妉天麻白茯巔澤瀉各五分乾薑三分黃栢酒洗二分右犫作一貼薑五片水煎服《東垣》
◈비위(脾胃)가 허약하여 담궐두통이 생겨 머리가 터지는 것같이 심히 아프고 온몸이 몹시 무거우며 팔다리가 싸늘하고 토하며 어지럽고 눈을 뜰 수 없으며 마치 바람이 불고 구름이 낀 속에 있는 것 같은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법제한것), 귤껍질(陳皮),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각각 6g, 흰삽주(백출), 약누룩(신국, 닦은 것) 각각 4g, 삽주(창출), 인삼, 단너삼(황기), 천마,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각각 2g, 건강 1.2g, 황백(술에 씻은 것)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頭痛苦甚謂之足太陰痰厥頭痛非半夏不能療眼黑頭旋風虛內作非天麻不能除黃妉甘溫瀉火補元氣實表虛止自汗人參甘溫瀉火補中益氣二朮俱苦甘溫除濕補中益氣澤瀉茯巔利小便導濕橘皮苦溫益氣調中神麴消食蕩胃中滯氣大麥蘖寬中助胃氣乾薑辛熱以滌中寒黃栢大苦寒酒洗以療冬天小火在泉發燥也《東垣》
◈ 머리가 몹시 아픈 것은 족태음(足太陰)에 담궐(痰厥)이 있어서 생긴 통증이다. 이런 것은 끼무릇(반하)을 쓰지 않으면 치료할 수 없다. 그리고 눈 앞이 캄캄해지며 머리가 어지러운 것은 풍허증(風虛證)이 속에 생긴 것이므로 천마가 아니면 없앨 수 없다. 황기는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하며 평(平)한데 화(火)를 사(瀉)하고 원기(元氣)를 보(補)하며 표(表)가 허(虛)한 것을 실(實)하게 하고 저절로 땀나는 것을 멎게 한다. 인삼은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하고 평한데 화를 사하고 중기(中)를 보하며 기운(氣)을 도와준다[益]. 삽주(창출)와 희삽주(백출)는 모두 맛이 쓰면서 달고 성질이 따뜻하고 평한데 습(濕)을 없애고 중초(中焦)를 보하며 기를 도와준다. 택사와 솔풍령(복령)은 오줌을 잘 나가게 하여 습을 없앤다. 귤껍질(陳皮)은 맛이 쓰고 성질이 따뜻하며 평한데 기를 보하고 중초를 고르롭게[調] 한다. 약누룩(신국)은 음식을 소화시켜 체한 것을 없애고 보리길금(麥蘖)은 속을 시원하게[寬中] 하며 위기(胃氣)를 돕는다. 건강은 맛이 맵고 성질이 덥기 때문에 속이 찬 것을 없앤다[滌中寒]. 황백은 맛이 몹시 쓰고 성질이 찬데 이것을 술에 씻어서 쓰면 겨울에 소양상화(少陽相火)가 재천(在泉)이 되어 생긴 조증(燥證)을 낫게 한다[동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