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외형편

상청백부자환(上淸白附子丸)

한들 약초방 2015. 11. 7. 10:15

 상청백부자환(上淸白附子丸)

 

 

治風痰盛頭痛目眩旋暈欲倒嘔惡心神思昏常服除風化痰淸利頭目白附子半夏製川芎甘菊南星蠶炒陳皮去白旋覆花天麻各一兩全蝎炒半兩右爲末薑汁浸蒸餠和丸梧子大薑湯下三十丸《得效》

 

풍담(風痰) 성하여 머리가 아프고 앞이 어지러워서 넘어질 같고 구역과 딸꾹질이 나며 메스껍고 정신이 흐리멍텅한 것을 치료한다. 약을 먹으면 풍이 없어지고 담이 삭으며 머리와 눈이 시원해진다.

노랑돌쩌귀(백부자, 싸서 구운 ), 끼무릇(반하, 법제한 ), 궁궁이(천궁), 단국화(감국), 천남성(싸서 구운 ), 백강잠(닦은 ), 귤껍질(귤피, 속을 버린 ), 선복화, 천마 각각 40g, 전갈(닦은 )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즙에 담근 증병( )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득효].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득효(得效)

편명 ; 외형편(外形篇) 권일(卷一) 두(頭)

 

내용 ; 풍담(風痰)이 성(盛)하여 머리가 아프고 눈앞이 어지러워서 넘어질 것 같고 구역과 딸꾹질이 나며 메스껍고 정신이 흐리멍텅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국(甘菊): 37.5 g.

남성(南星): 37.5 g. 굽는다.

반하(半夏): 37.5 g. 포제한다.

백강잠(白殭蠶): 37.5 g. 굽는다.

백부자(白附子): 37.5 g. 굽는다.

선복화(旋覆花): 37.5 g.

전갈(全蝎): 18.75 g. 볶는다.

진피(陳皮): 37.5 g. 하얀부분을 제거한다.

천궁(川芎): 37.5 g.

천마(天麻): 3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담근 증병(蒸餠)에 반죽해서 오동나무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

 

효능 ; 제풍화담(除風化痰)

 

주치병증

목현(目眩)

눈앞이 캄캄하고 꽃 같은 헛것이 어른거리는 증상.

양방병증 ; 어지러움

 

선훈(船暈)

배를 탔을 때 쓰러져서 어지럽고 구토가 생기는 증상.

이명 ; 선거훈(船車暈)

 

신사혼궤(神思昏憒)

마음이 불안하고 정신이 흐린 것. [동의보감(東醫寶鑑)] <잡병편(雜病篇)> 제10권에서 "매일 상오에 정신이 흐릿하고 밝은 곳을 보지 못하고 사람의 소리를 듣기 싫어하며 오후가 되면 머리가 어지럽고 배가 아프며 깜짝깜짝 놀란다. 또 조금만 일을 하거나 월경 때가 되면 그 증상이 더욱 심해진다. 이는 뜻을 이루지 못하였기 때문이니, 청신양영(淸神養榮)해야 하므로 사물탕(四物湯)에 인삼(人參), 복신(茯神), 진피(陳皮), 시호(柴胡), 강활(羌活), 향부자(香附子), 감초(甘草)를 더하여 복용한다.(每日上午, 神思昏憒, 怕見明處, 惡聞人聲, 至午後, 方可頭昏, 腹痛, 驚惕, 稍涉勞動, 與月經來時, 其證尤劇, 此不得遂志之故也, 宜淸神養榮, 以四物湯, 加人參, 茯神, 陳皮, 柴胡, 羌活, 香附子, 甘草煎服.)"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정신혼란

 

오심(惡心)

매스꺼움. 토하고 싶어도 토해지지 않는 증상. 대개 구토의 조짐임. 담(痰)이 중완(中脘)에 응체(凝滯)하거나, 습열(濕熱)이 위(胃)를 막아서 생김.

양방병증 ; 구역

 

풍담두통(風痰頭痛)

풍사(風邪)가 담(痰)을 끼고 올라가 청규(淸竅)를 뒤흔들어 발생하는 두통.[성제총록(聖濟總錄)] <제풍문(諸風門)>에 나옴. [난실비장(蘭室秘藏)] <두통문(頭痛門)>에서 "발작할 때 양쪽 뺨이 푸르면서 누러며 어지럽고 눈을 뜨려 하지 않으며, 말하기 싫어하고 몸이 무거우며 울렁거려 토하려 한다. 결고(潔古)가 말하기를, 이는 궐음(厥陰)과 태양(太陽)이 함께 병든 것으로서 풍담(風痰)이라 하는데 국방옥호환(局方玉壺丸)으로 치료한다.(發時兩頰靑黃, 暈眩, 目不欲開, 懶言身體沈重, 兀兀欲吐. 潔古曰, 此厥陰太陰合病, 名曰風痰, 以局方玉壺丸治之.)"라고 하였다

양방병증 ; 두통

'^*^동의보감^*^ > 동의보감외형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0) 2015.11.07
정풍병자(定風 子)  (0) 2015.11.07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0) 2015.11.07
옥호환(玉壺丸)  (0) 2015.11.07
담궐두통(痰厥頭痛)  (0) 2015.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