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잠행산(潛行散)

한들 약초방 2015. 12. 8. 09:24

 잠행산(潛行散)

 

 

治血虛陰火痛風及腰以下濕熱注痛黃栢酒浸焙乾爲末每一錢薑汁和酒調服必兼四物湯間服之妙《丹心》

 

혈허(血虛) 음화(陰火) 생긴 통풍과 허리 아래에 습열(濕熱) 몰려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황백(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4g 생강즙을 술에 타서 먹는데 겸해서 사물탕을 사이사이에 먹는다[단심].

 

=================================================================================

 

※출처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구성약재

황백(黃柏):

 

조제용법 ; 황백을 술에 담궜다 햇볕에 말려 분말을 내서 1돈을 사물탕을 끓여 복용한다(黃栢一味好酒浸晒乾爲末每4g 煎四物湯調服)

 

주치병증

습열하주(濕熱下注)

하초(下焦)에 습열(濕熱)이 유주(流注)하는 병증.

 

음화통풍(陰火痛風)

기혈(氣血)이 부족하여 음화(陰火)가 왕성하면서 담탁(痰濁)이 있는 통풍증(痛風證).

이명 ; 통풍(痛風)

양방병증 ; 통풍

 

혈허(血虛)

체내의 혈이 부족해 생긴 병증. 사려과도, 행방(行房), 기생충, 장부의 허손, 기허(氣虛) 등으로 생혈(生血) 기능이 장애 받아 일어남. 남자는 토혈(吐血), 사혈(瀉血)하고 부인은 산후붕루(産後崩漏)가 있음. 혹은 실도망행(失道妄行)으로 안화두훈(眼花頭暈)이 있고, 저녁에 열이 나고, 피부가 거칠어지며, 얼굴이 허옇고, 맥이 세(細)하고 무력(無力)함. 심하면 건혈로(乾血勞)가 됨.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호단(龍虎丹)  (0) 2015.12.08
이묘산(二妙散)   (0) 2015.12.08
마황산(麻黃散)  (0) 2015.12.08
사묘산(四妙散)  (0) 2015.12.08
소풍활혈탕(疎風活血湯)  (0) 2015.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