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가감사군자탕(加減四君子湯)

한들 약초방 2015. 12. 22. 13:45

 가감사군자탕(加減四君子湯)

 

♣ 治久病胃弱全不納食聞食氣卽嘔四君子湯(方見氣門)去茯加人參黃香附子各一錢右作一貼入生薑三片水煎服《入門》

 

♣ 오래된 병으로 위가 약해져서 전혀 먹지 못하고 음식냄새만 맡아도 구역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사군자탕(四君子湯, 처방은 기문(氣門) 있다) 약재에서 흰솔풍령(백복령) 빼고 인삼, 단너삼(황기), 향부자 각각 4g 넣는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입문(入門)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오(卷五) 구토(嘔吐)

 

내용 ; 오랜 병으로 위(胃)가 약해져 음식을 먹을 수 없고 음식 냄새만 맡아도 구역(嘔逆)감이 있는 자를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4.688 g. 굽는다.

백출(白朮): 4.688 g.

인삼(人蔘): 3.75 g. 노두(蘆頭)를 제거한다.

향부자(香附子): 3.75 g.

황기(黃芪): 3.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사군자탕에 복령을 빼고 인삼, 황기, 향부자를 더했다.

 

주치병증

위약(胃弱)

위(胃)가 약한 것.

 

=============================================================================

사군자탕(四君子湯)

 

 

 

 補眞氣虛弱治氣短氣少人參去蘆白茯白朮甘草灸各一錢二分半右水煎服《局方》

진기(眞氣) 허약한 것을 보하는데 기력이 아주 약하고 기운이 적은 것을 치료한다.

인삼(노두를 버린 ), 흰솔풍령(백복령), 흰삽주(백출), 감초(닦은 ) 각각 5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方氏曰人參補肺扶脾白朮健脾燥濕茯降氣渗濕甘草補胃和中譬如寬厚和平之君子不爲奸險卒暴之行也

 방씨(方氏) “인삼은 폐를 보하고 비를 든든하게 해준다. 흰삽주는 비를 든든하게 하고 습기를 없앤다. 흰솔풍령(백복령) 기를 내리고 습기를 빠져 나가게 한다. 감초는 위를 보하고 속을 편안하게 한다. 비유하면 너그럽고 후하며 마음씨 좋은 사람은 간사하고 험하며 무리한 행동을 하지 않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醫鑑曰人參補元氣白朮健脾胃茯渗濕又引人參下行補下焦元氣《入門》 

 『의감』에는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흰삽주는 비위를 든든하게 한다. 흰솔풍령(백복령) 습기를 빠지게 하는 것과 함께 인삼을 이끌어 내려가게 해서 하초의 원기를 보한다”고 씌어 있다[입문].

 

=================================================================================

출처 ; 세의득효방(世醫得效方)(1345년)

편명 ; 권제십이(卷第十二) 토유(吐乳)

 

구성약재

감초(甘草):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백출(白朮):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복령(茯苓):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인삼(人蔘): 다른 약재와 같은 분량.

 

조제용법 ; 가루내어 매번 7.5g을 곽향, 모과를 달인 탕으로 복용한다.

 

주치병증

식적설(食積泄)

[불거집(不居集)] <설사(泄瀉)>에서 "식적설(食積泄)은 설사하면 배설물에서 썩은 냄새가 나고 트림을 하면 시큼한 냄새가 넘어온다.(食積泄, 泄下腐臭, 噫氣作醋.)"고 하였다

이명 ; 식적설사(食積泄瀉).

양방병증 ; 설사; 자극성 장증후군; 상세불명의 비감염성 위장염 및 대장염(큰창자염)

 

토유(吐乳)

젖을 토하는 병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