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근죽여탕(葛根竹茹湯) ♣
♣ 治胃熱嘔吐葛根三錢半夏切薑汁漿水同煮焙乾二錢甘草一錢右犫作一貼薑三片棗二枚竹茹一彈子大同煎服《丹心》
♣ 위에 열이 있어서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칡뿌리(갈근) 12g, 끼무릇(반하, 썰어서 생강즙과 신좁쌀죽웃물을 섞은데 넣고 달여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8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참대속껍질(죽여, 달걀 노른자위만한 것) 1뭉치를 넣어서 달여 먹는다[단심].
♣ 治酒嘔尤妙《入門》
♣ 술을 마신 다음 구역이 나는데 더 좋다[입문].
♣ 欲知胃中有熱手足心皆熱者是胃熱也《入門》
♣ 위(胃)속에 열이 있는가는 손발바닥이 다 다는가[熱]를 보고 아는데 손발바닥이 달면 위에 열이 있는 것이다[입문].
===============================================================================
출처 ; 의학입문(醫學入門)(1575년)
편명 ; 잡병용약부하(雜病用藥賦下) - 담류(痰類)
내용 ; 위(胃)에 열(熱)이 있어 구토(嘔吐)하는 것을 치료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갈근(葛根): 11.25 g 또는 8.25 g.
감초(甘草):
반하(半夏): 1 단(團).
죽여(竹茹):
조제용법 ; 생강 대추와 끓여 맑은 즙을 취하여 차게해서 복용한다(姜棗煎 取淸汁 冷服)
주치병증
구토부지(嘔吐不止)
구토(嘔吐)가 멈추지 않는 것
양방병증 ; 구토
심번(心煩)
번열(煩熱)이 나면서 답답한 증상.번심(煩心)이라고도 함. 대부분 열 때문인데 한으로 생긴 경우도 있다. 외감(外感)과 내상(內傷)의 여러 가지 병증에서 나타날 수 있다.
양방병증 ; 가슴답답함
위열(胃熱)
열사(熱邪)가 위를 침범하거나 지나치게 익히고 태운 음식을 과식하여 위(胃)에 조열증(燥熱證)이 생긴 병증. 위화(胃火), 위열화화(胃熱化火)라고도 한다. 조갈이 나고, 입에서 냄새가 나며, 조잡(嘈雜) 증세와 쉬이 배가 고프고 가슴앓이가 있으며, 소변이 적고 붉은색이며, 대변이 단단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위열(胃熱)이 화(火)로 화하면 입 속이 헐고, 잇몸이 붓고 아픈 증상 등이 생기는데 처음에는 청위사화(淸胃瀉火)를 하고 후에 위음(胃陰)을 자양(滋養)시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