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열이진탕(淸熱二陳湯) ♣
♣ 治痰火嘔吐出涎沫半夏陳皮赤茯巔甘草人參白朮竹茹砂仁梔子麥門冬各一錢右犫作一貼入薑三棗二梅一水煎服《回春》
♣ 담화로 토하면서 거품침[涎沫]을 흘리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감초, 인삼, 흰삽주(백출), 참대속껍질(죽여), 사인, 산치자, 맥문동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오매 1알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회춘(回春)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오(卷五) 구토(嘔吐)
내용 ; 담화(痰火)로 구토하면서 거품 섞인 침을 흘리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감초(甘草): 3.75 g.
맥문동(麥門冬): 3.75 g.
반하(半夏): 3.75 g.
백출(白朮): 3.75 g.
사인(砂仁): 3.75 g.
인삼(人蔘): 3.75 g.
적복령(赤茯苓): 3.75 g.
죽여(竹茹): 3.75 g.
진피(陳皮): 3.75 g.
치자(梔子): 3.75 g.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만들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오매 1알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
주치병증
구토(嘔吐)
위의 내용물을 게우는 증상. 담음(痰飮), 비위허약(脾胃虛弱), 칠정(七情), 식체(食滯), 기체(氣滯), 육음외감(六淫外感) 등으로 위기(胃氣)가 거슬러 올라와 발생함. 한(寒)을 끼면 희열오한(喜熱惡寒)하고, 사지가 차며, 맥이 소(小)함. 열을 끼면 희랭오열(喜冷惡熱)하고, 조갈(燥渴)이 나며, 맥이 홍(洪)함. 기체로 생기면 복부가 창만해짐. 담음으로 생기면 찬 것을 접할 때마다 토함. 쓴것을 토하면 사기(邪氣)가 담(膽)에 있는 것이고, 신것을 토하면 사기가 간(肝)에 있는 것이고, 시큼한 것을 토하면 식체 때문임. 실증 때는 병이 생긴 기간이 짧고, 경과가 급하고, 위 내용물이 많고, 시큼한 냄새가 남. 허증 때는 병이 생긴 기간이 길고, 위 내용물이 적고, 냄새가 심하지 않음.
양방병증 ; 구토
담화(痰火)
담(痰)으로 인해 생긴 화(火), 또는 담을 낀 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