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동의보감잡병편~01

화중길경탕(和中桔梗湯)

한들 약초방 2015. 12. 22. 13:24

 화중길경탕(和中桔梗湯)

 

♣ 治上焦熱食已暴吐浮而洪半夏麴二錢桔梗白朮各一錢半陳皮厚朴枳實赤茯各一錢右作一貼薑三片水煎取淸調木香檳末各一錢空心服三服後吐漸止除木香檳末便加白芍藥二錢黃一錢半煎服《正傳》

 

♣ 상초(上焦) 열이 있어서 먹으면 토하고 맥이 부홍(浮洪) 것을 치료한다.

반하국 8g, 도라지(길경), 흰삽주(백출) 각각 6g, 귤껍질(陳皮), 후박, 지실,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인 다음 가라앉혀 웃물을 받는다. 여기에 목향과 빈랑가루 각각 4g 타서 빈속에 먹는다. 세번을 먹어서 토하는 것이 멎으면 목향과 빈랑가루는 빼고 다시 집함박꽃뿌리(백작약) 8g, 단너삼(황기) 6g 넣어서 달여 먹는다[정전].

 

==============================================================================

출처 ; 의학정전(醫學正傳)(1515년) 하간(河間)

편명 ; 하간(河間)

 

내용 ; 상초(上焦)에 열(熱)이 있어서 먹자마자 갑자기 토(吐)하며 맥이 부(浮)하면서 홍(洪)한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구성약재

길경(桔梗): 5.625 g.

반하(半夏): 7.5 g. 밀가루로 만든다.

백복령(白茯苓): 3.75 g.

백출(白朮): 3.75 g.

지실(枳實): 5.625 g. 밀기울로 노랗게 될때까지 볶는다.

진피(陳皮): 3.75 g. 흰 부분을 제거한다.

후박(厚朴): 3.75 g. 생강즙에 섞어서 볶는다.

 

조제용법 ; 위의 약재를 잘게 썰어서 1회 복용으로 물 1잔반에 넣고 1잔이 되게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한 후 맑은 즙을 취하여 목향산(木香散) 2돈을 타서 공복에 복용한다. 세 번 복용한 후에 기운이 점차 가라앉고 구토가 점차 그치면 목향산(木香散)을 빼고 작약(芍藥) 2돈과 황기(黃芪) 1돈반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고 병이 낫게 되면 멈춘다.

 

효능 ; 화중(和中)

 

주치병증

상초옹열(上焦壅熱)

상초(上焦)에 열이 쌓여 막히는 것.

 

식이즉토(食已卽吐)

먹으면 토하는 것

'^*^동의보감^*^ > 동의보감잡병편~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열이진탕(淸熱二陳湯)   (0) 2015.12.22
황련죽여탕(黃連竹茹湯)  (0) 2015.12.22
보중탕(保中湯)  (0) 2015.12.22
가감이중탕(加減理中湯)  (0) 2015.12.22
정향안위탕(丁香安胃湯)   (0) 2015.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