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중탕(保中湯) ♣
♣ 因痰火致嘔吐不下飮食白朮土炒二錢黃芩黃連拄土炒藿香梔子薑汁炒各一錢半夏陳皮赤茯巔各八分縮砂三分甘草二分右犫作一貼入薑三片以長流水和黃泥澄淸取水煎之去滓稍冷頻服《醫鑑》
♣ 담화(痰火)로 토하고 음식이 내리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흙과 함께 닦은 것) 8g, 속썩은풀(황금), 황련(이 2가지는 흙과 함께 닦는다), 곽향, 산치자(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각각 4g,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3.2g, 사인 1.2g, 감초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달이는데 강물에 누런 흙을 풀어서 가라앉힌 웃물에 넣고 달인다.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약간 식혀서 자주 먹는다[의감].
=============================================================================
출처 ; 동의보감(東醫寶鑑)(1613년) 의감(醫鑑)
편명 ; 잡병편(雜病篇) 권오(卷五) 구토(嘔吐)
구성약재
감초(甘草): 0.75 g.
곽향(藿香): 3.75 g.
반하(半夏): 3 g.
백출(白朮): 7.5 g. 흙으로 볶는다.
적복령(赤茯苓): 3 g.
진피(陳皮): 3 g.
축사(縮砂): 1.125 g.
치자(梔子)A: 3.75 g. 생강즙에 축여서 볶는다.
황금(黃芩): 3.75 g. 흙으로 볶는다.
황련(黃連): 3.75 g. 흙으로 볶는다.
조제용법 ; 약재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달이는데 강물에 누런 흙을 풀어서 가라앉힌 웃물에 넣고 달인다.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약간 식혀서 자주 먹는다.
효능 ; 담화(痰火)로 토하고 음식이 내리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주치병증
담화(痰火)
담(痰)으로 인해 생긴 화(火), 또는 담을 낀 화. |